AI 2024 - 트렌드 & 활용백과
김덕진 지음 / 스마트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처럼 도구의 진화에는 항상 논란이 있어 왔습니다. 20년 이상 AI 머신러닝 엔지니어로 일하며 트위터에 27만여 명의 팔로워를 가진 Santiago (@svpino)의 트윗 한 줄이 이 모든 상황을 설명해 줍니다. “Al will not replace you. A person using Al will(AI는 사람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을 대체할 것입니다).”




...언어모델들에게 MBTI 검사를 위한 질문을 해서 답을 받아 분석했더니 챗GPT 3.5버전은 ENTJ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좀더 똑똑해지고 길들여진 GPT-4버전은 INTJ로 성향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외향적인 성격의 챗GPT가 내향형으로 바뀐 것이죠. 전문적이긴 한데 확실히 예상외의 답변이나 웃긴 답변이 줄어든 GPT-4를 보면서 마치 인간 같다는 착각이 들기도 하는 것은 저만의 생각일까요?




...새로운 시대, 새로운 세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른바 ‘챗봇 네이티브(Chatbot Native)’ 세대를 준비해야 합니다. 이들은 AI와 대화하며 다양한 생각을 표현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어떤 의미에서 축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 교육방식 때문에 하지 못했던 ‘토론과 대화’를 회복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할루시네이션은 환각성 답변이지만, 다른 시각으로 보면 인간이 생각하지 못하는 신비한 얘기, 새로운 이야기들을 계속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막는 것은 마치 상상력이 정말 뛰어난 어린아이에게 “이런 것 하지 마, 저런 것 하지 마” 하며 제한을 자꾸 두니 창의성이 오히려 말살되는 것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 나온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도 편향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발언들을 못하게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RLHF)을 상당히 많이 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하이퍼클로바X를 가지고 소설을 쓰거나 창의적 결과물을 만드는 게 상대적으로 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할루시네이션을 잡는 것이 언어모델의 신뢰도를 높이는 행위일 수 있지만, 반대로 그만큼 여러 개성을 죽이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