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 ㅣ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23년 1월
평점 :
#한눈에펼쳐보는24절기그림책#프리뷰어
한자로 되어 있는 절기의 뜻풀이, 유래와 의미, 절기와 관련된 풍속과 속담, 의미등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쉬운 그림을 통해 쉽게 설명하고 있는 큰 판형의 그림책입니다.
#입춘에서대한까지
먼 옛날, 우리 선조들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정하는 음력을 사용했지만 계절을 예측하거나 농사를 짓는 데 아쉬운 점이 많았습니다.계절은 태양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데 달력은 달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만들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태양이 지나가는 길, 황도를 관찰하기 시작했고,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준으로 15도씩 옮겨 갈 때마다 점을 찍어 24개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러한 절기는 농사를 많이 지었던 우리 조상들에게 매우 중요했어요. 씨를 뿌리는 시기만 하더라도 음력으로 따지면 어느 해에는 3월에, 어느 해에는 4월에 뿌려야 해서 날짜만으로는 뿌리는 시기를 일정하게 알 수 없고 날씨를 보며 추측해야 했기 때문에 때를 놓칠 수 있었죠.
하지만 절기를 계산하면 ..
경칩과 춘분에 씨앗을 고르고 밭갈이를 하고,
낮이 가장 긴 하지에는 감자와 당근을 캐고, 장마를 대비합니다.
아침 저녁으로 선선해지면서 밤낮의 기온차가 커지는 백로와 추분쯤에는 새파란 하늘에 잠자리가 날고, 하늘도 높아집니다.
절기를 알면 자연의 때를 알고, 그 때를 기다리게 됩니다.
꽃이 피는 때를 즐기게 되고, 씨앗을 뿌리는 때를 기다리게 되는 것처럼요.
그렇다면 일기예보만큼 매일 미세먼지 정보를 확인하는 우리는 수백년 전의 선조들과 절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까요?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짓는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입도 비뚤어진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초등고전에도 자주 등장하는 이런 속담을 기억하고 계신가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 같지만 절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요. 풍속도 속담도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니까요.
책장에 있는 24절기책과 연계해 보세요.
함께 읽으며 할머니와 아빠의 어린시절엔 일년이 얼마나 어떻게 바쁘고 즐겁게 지나갔는지 느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취학 전 ~저학년 친구들에게 추천합니다.
24절기를 알면 사계절 그림도 이야기도 풍성해져요.
#진선아이#서평단#진선출판사#책스타그램#어린이#24절기#절기그림책#설날#입춘#경칩#날씨#계절#아동추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