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호 - 역사가 잊은 외로운 지도꾼 아이세움 역사 인물 17
서경석 지음, 박지윤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동여지도하면 의례 떠오르는 인물, 김정호.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모두가 알고 있는 인물 이지만 정작 그에 대한 위인전이나 역사서는 거의 본적이 없어요. 단지 대동여지도를 만든 인물로 대동여지도에 대한 설명만 있을 뿐, 그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알지 못했지요. 
 

  이 책은 이와 같은 그의 삶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위인전입니다, 단순하게 대동여지도를 만든 인물로만 그를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더군요. 그의 삶은 변화무쌍한 시대적 흐름과 함께 했지요. 그를 도와 주었던 고위층 양반이었던 신헌이나 최성환 등 주변의 많은 인물들도 그의 탁월한 능력에 탐복하여 자연스럽게 다가온답니다. 이 책은 대동여지도 등 많은 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일대기를 그리면서, 동시에 서양의 앞선 문물에 문호를 개방하라고 압력을 당하던 개화기였기에 이 세대의 급박한 실제 백성들의 삶을 엿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접해보시기 바래요.  


  김정호 한 사람의 세옹지마 같은 일생이 우리나라의 당시 모습과 어쩌면 그리도 비슷한지요.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이전의 지도에 비해 십분의 일 가격으로 모든 이들이 값싸면서도 정확한 지도를 가질 수 있게 하여, 상인은 정화한 지도로 장사나 무역을 쉽게 할 수 있게 하고, 농민은 농사를 좀더 편리하게 하며, 그 외의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했던 그의 바램이 이루어진 후, 갑자기 그는 그의 하나 밖에 없던 가족인 그의 딸과 함께 흔적도 없이 사라졌답니다, 갑자기 무너져 버린 우리의 문화처럼 김정호와 그의 부인과 자식 들의 삶이 너무 고되어 마음이 아팠답니다.  


그의 대동여지도 또한 일반 백성들을 위해 만들었으나 러.일 전쟁 시 두 나라의 군사 작전용 지도로 쓰였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록달록 카멜레온 꼬마 그림책방 30
다시로 치사토 글.그림, 김영진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몸 색깔을 자유롭게 주변의 색과 바꿀 수 있는 카멜레온은 가장 친한 친구들 조차 자신을 나뭇 조각이나 나뭇잎, 꽃, 돌로 착각하고 알아보지 못하는 점 때문에 항상 불만이었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마에게 이런 하소연을 한 후 오히려 하마가 늘 칙칙한 잿빛인 자신의 몸 색깔에 비하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카멜레온을 부러워하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이후 모든 동물 친구들에게 스스로 원하는 대로 알록달록한 색깔을 몸에 입혀 줍니다.

  하지만 하루밖에 안 지나, 저마다 불평하기 시작한답니다. 사자의 경우 알록달록한 얼룩말과 하마를 구별 할 수 없어 배가 고파 죽겠다고 하소연이랍니다.
모든 동물들의 불평이 극에 달해 저마다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소연 입니다. 결국, 절벽 낭떠러지에 몰린 카멜레온에게 억수 같은 장대비가 쏟아져 동물들의 알록달록한 색깔을 모두 씻어내 줌으로 써 모든 문제가 해결된답니다.

  이후로 모든 동물들은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며, 카멜레온 역시 주변의 색과 같은 색으로 변화하는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고 만족스러운 하루를 보내게 되었답니다. 친구들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해도 기분 나빠하지 않았답니다.  


  이 책은 꼬마 친구들이 남과 비교하여 자신이 못하다고 덜 가졌다고 느낄 때 읽어본다면 많은 깨달음을 갖게 할 수 있는 교훈과 재미를 동시에 주는 사랑스러운 동화책이랍니다
일본 작가인 다시로 치사토의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7개국어로 번역될 만큼 전세계적인 공감을 일으킨 그림 동화랍니다. 색상 또한 아이들이 보기에 섬세하고 눈에 자극적이지 않아 좋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엄마가 좋은 10가지 이유 꼬마 그림책방 29
최재숙 지음, 문구선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정감이 가는 이 그림책은 우리의 정서와 온전히 일치하여 보는 내내 마음이 따뜻하답니다. 그림만으로도 엄마를 좋아하는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게 한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반찬인 계란, 김, 김치, 햄구이, 생선 밥 등이 놓여있는 식탁에 입맛을 다시고 있는 주인공의 행복해하는 모습과 옆 페이지의 자장면을 길게 늘려가며 먹는 장난스러우면서도 흡족한 주인공의 표정과 이를 보고 있는 엄마의 흐뭇한 표정이 공감이 가고 정겹답니다. 

 
  내가 좋아하는 반찬을 만들어 줄 때도 엄마가 좋지만 맛있는 거 시켜 줄 때도 엄마가 참 좋다고 하는 표현이 재미있게 묻어나는 그림이랍니다
 

  냉장고 앞에 붙여 놓은 주인공의 상장까지 꼭 현재 우리의 삶의 모습과 너무 똑같아 보기만 해도 그 마음이 전해 진답니다. 

 
  그림책이란,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글도 좋지만 그림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믿는 분들에게 그림으로 글 이상의 뭔가를 담아내야 한다고 믿는, 그러면서도 우리의 정서와 맞는 사랑스럽고 공감할 수 있는 그림이어야 한다고 믿는 분들이라면 만족하실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신만만 열두 달 우리 명절 자신만만 시리즈 11
한미경 지음, 김민정 외 그림 / 아이즐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24절기를 무엇으로 나누었는지 아시나요?
우리 조상들은 음력을 주로 썼지만 농사는 해의 움직임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일년을 24마디로 나눈 게 절기라고 한답니다. 그래서 절기를 보면 언제 밭을 갈고 씨를 뿌리며, 거두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24절기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 책에는 24절기에 대한 설명도 함께 수록되어 있답니다.
본문의 내용은 12달 우리명절에 관한 것입니다. 음력 1월1일, 설날 음력 1월15일 정월대보름, 2월 열등 맞이, 3월 삼짇날, 12월 섣달 그믐까지 12달 명절을 소개하며 조상들의 풍속과 명절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답니다.
2월 세시 풍속인 음력 2월1일 영등 맞이편의 경우 바람을 다스리는 바람신인 영등 할머니께 마을 전체가 제사를 지내 바람을 재워 배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고기를 많이 잡게 해 달라고 빈답니다. 음력 2월에는 유난히 바람이 많이 불어서 이런 풍습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이날 우리 조상들은 콩을 볶으면 집안에 노래기가 없어지고 깨끗해진다고 믿었답니다. 옛날에는 지붕을 짚 풀로 엮어서 씌웠기 때문에 날씨가 따뜻해지면 지붕에 살던 노래기 같은 벌레가 나왔답니다. 이때 콩을 볶으면 그 연기로 소독하는 효과가 있었답니다. 이처럼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느껴지는 세시풍속, 우리 부모님들도 잘 알지 못해, 자녀들에게 설명하기 어려웠던 세시풍속, 교과서에서 마주 칠 때면 좀더 자세한 설명이 있었으면 하고 아쉬워했던 세시풍속이 그 마음 그대로 담겨있는 우리가 원했던 책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은지 2012-09-02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림과글을 적확히 올렷내용....
 
아껴야 행복한 자원 이야기
우미아 지음, 이해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껴야 행복한 자원이야기
5학년 2학기 과학 7단원 태양의 가족을 아이와 공부하다가 이 책을 보게 되었는데 책에서는 자세히 설명돼있지 않았던 태양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참고서적으로도 아주 유익했답니다. 태양은 수소라는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 지구처럼 단단한 땅이 아닌, 기체가 뭉친 행성이랍니다. 그런데 이 기체들이 서로 부딪쳐 헬륨이라는 물질로 변해 빛과 열을 뿜어내 태양 에너지를 만든다고 합니다.

이때의 태양에너지의 양을 약 40경 GW인데,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에서 만드는 에너지가 10GW에도 못 미친다고하니, 상상도 할 수 없는 큰 에너지임을 알 수 있답니다. 이런 과학적 이야기들이 지루하게 나열된 것이 아닌 다양한 여러 이야기들을 단원마다 들려주며 관련된 과학과 자연에 대해 설명해 주기에 그냥 소설책을 읽듯이 자연스럽게 술술 읽힌답니다. 그러면서도 역사, 자연, 과학, 자원 등 모든 것을 다루고 있어서 아이들이 교과서를 공부하면서 함께 보면 좀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고, 배경 설명이 될 수 있는 보조 교과서로도 좋은 책입니다. 두고두고 보면 더욱 값진 책이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