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잘조잘 박물관에서 피어난 우리 옷 이야기 아이세움 열린꿈터 7
김영숙 지음, 지문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박물관이 살아있다> 라는 영화를 보신적이 있으세요? 이 책은 바로 그 버전으로 만든 책입니다.
  우리옷 박물관의 한복, 배냇저고리, 돌복, 혼례복, 상복, 여름옷, 겨울옷 들이 저마다 하나씩 자신들의 옛날 이야기를 들여주며, 그 시대의 사회성과 자신의 옷 주인의 심정과 처지까지도 이해 시킨 답니다. 


가령 궁궐에서도 농가에서도 아이 옷은 배냇저고리의 경우 아기가 태어나면 여전히 배냇저고리를 입힌다는 이야기로 시작하여 옛날과 현재를 연결하고 있지요

  “응애 응애~ 손꼽아 기다리던 도련님이 울음을 터트리며 태어나던 날, 따듯한 물에 목욕을 한 도련님의 피부는 어찌나 보들보들 하고 냄새가 좋던지…….. 흠흠. 저는 태어나서 처음 입는 도련님이 불편하지 않게 부드럽고 포근하게 도련님을 안아 드렸어요.” 라며 배냇저고리는 자신의 옷과 옷 주인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 놓는 답니다.
 
새끼줄에 빨간 고추를 끼워 대문에 거는 금줄은 기쁜 소식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동시에 당분간 집에 함부로 들어 오지 말아 달라는 표시라고 합니다. 아이를 낳느라 힘들었던 산모와 세상에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이가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기 쉬워 외부 사람들과 만나지 않게 했던 것이지요. 

   옛날에는 아들 낳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많아서 남자아이가 입었던 배냇저고리는 재수 좋은 물건이라고 믿어 잘 보관했다가 어른이 되어 과거 시험을 보러 갈 때 품에 넣어 주셨다고 합니다. 그렇게 하면 합격한다고 믿었거든요. 이처럼 이 책은 옷의 특징뿐만 아니라 유례 등 문화 전반에 걸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답니다. 두고두고 보면서 간직하고 싶은 정성스럽게 만든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