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지리한 초반을 지나 '빛과 그늘 속 <해변의 카프카>'라는 장에 와서야 뭔가 이야기가 진행되는 듯 싶다. 마치 <1Q84>처럼 장을 하나 건너씩 진행되는 이야기가 몰입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한 장을 건너 뛰어 '속이 텅빈 사람들의 자기증명'이라는 장에서 엘리엇의 'Hollow Man 속이 텅빈 사람들'이라는 시에 대한 하루키의 해석은 나름 새로운 면이 있다. 그저 머리 속에 든 게 없는 공허한 인간이라는 개념에서 좀 더 나아가 기존관념이라는 지푸라기만 가득한 상상력이 부족한 인간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그런 기존관념을 남에게 강요하는 인간들이라는게 그의 해석이다.  도서관 사서 오시마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고 있지만 작가 하루키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오시마를 통해서 한다는 느낌이 강하게 느껴진다. 그런 인간들을 혐오한다고. 지푸라기라는 이미지는 참으로 적절하다는 생각과 함께 나는 독자로서 오시마의 의견에 공감한다.

 

또 한 가지 학생운동의 무고한 희생양이 된 인물을 두고 오시마가 비난하는 학생운동의 '경직된 시스템, 상상력이 결여된 속 좁은 비관용적 독불장군 같은 계급투쟁의 운동방침'. 또한 이렇게 상상력이 결여된 편협하고 경직되고 속 좁은 비관용성을 '진심으로 두려워하고 증오'한다는 그의 말에서 일본 학생운동의 폐단에 대한 하루키의 거침없는 비판을 접하게 된다. 한국역시 이런 역사의 한 과정을 밟아온 터라 그 대목을 읽으며 과연 그의 비난에 대해 전적으로 수긍해야할 지 부분적으로 수용해야할지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마도 후자쪽으로 생각이 기울겠지만 이런' 상상력이 결여된 경직성이란 기생충과 같아서 숙주를 바꿔가면서 '역사 속에서 계속 반복되어 나타나며 거기에는 구원이 없다는 오시마 혹은 하루키의 말에는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속이 텅빈 사람들, 지푸라기.. 이런 이미지를 떠올리다보면 제임스 조이스가 <야시장 bazaar>라는 단편에서 일상의 반복된 행위 속에서 마비된 상태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정치한 묘사가 떠오른다. 소년이 야시장을 갔을 때는 이미 시장이 철시된 상태였고 그 과정에서 소년의 눈을 통해서 마비된 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렸던 것 같은데 왠지 그 이미지와 소년이 문닫은 시장을 바라보는 옆얼굴이 떠오른다.

 

좀 더 읽어봐야 알겠지만 중간에 물고기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장면은 영화 <매그놀리아>를 연상시키면서 좀 진부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정이 다 된 시각에도 차선을 가득 메우고 막힌 차들을 보면서, 학원에서 돌아오는 여학생, 학원 앞에서 담배를 피우는 남자 아이들, 거리를 걸어가는 행인들을 보면서 서울이 약동하는 도시라는 생각 한 켠에 저 많은 차들은 도대체 어디로 향하는 걸까 하는 생각도 동시에 들었다. 무엇을 위해 달리고 배우고 경쟁하는 것인지. 분명 활발하게 약동하는 도시인 것만은 분명한데 누구를 위한 것인지 혹은 그런 치열한 생존경쟁이 우리의 안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겠지만 그 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피할 수 없다는 생각도 들지 않을 수 없었다. 

 


하루키의 장작불에 대한 묘사를 보면서 참으로 정적인 묘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왠지 활활 타오르는 불길을 보면 저것을 어떻게든 묘사하거나 그 불길에서 떠오르는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불끈 솟아오른다. 하지만 거침없이 타오르는 불길에 비해 그 묘사는 턱없이 초라하다는 생각을 늘 해오던 터에 흐라발의 <너무 시끄러운 고독>에서 집시들이 일할 때 늘 피워놓는 장작불에 대한 그의 묘사를 보면서 무릎을 친 기억이 난다. 감격한 나머지 지인들에게 그 부분을 문자로 보냈다가 돌아온 썰렁한 반응과 함께. 흐라발의 소설을 생각하면 폴란드 기숙사의 지하실을 사진에 담아올걸 하는 생각이 든다. 청소하는 아줌마, 고장난 걸 수리해 주는 아저씨들이 일하는 공간인데 천정의 배수관을 따라 크리스마스 전구가 달려있기도 하다. 너무 시끄러운 고독에서 폐휴지로 수거해온 책을 압축하는 일을 하는 주인공 역시 지하에서 일하는데 그 허름하고 우중충한 공간과 크리스마스 트리, 수족관이 공존하는 걸 보면서 왠지 이 공간을 보면 흐라발의 소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으시시한 엘리베이터와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