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다섯, 벼리의 별 단비청소년 문학
백나영 지음 / 단비청소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 다섯, 벼리의 별-백나영 글

 

꿈을 꾸고 그 꿈을 향해 노력하는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희망과 용기를 담아 낸

청소년 문학이다.

시대적 배경이 1980년대 조선의 상황은 격동의 시대였다.

작가는 이러한 시대에서 사회적 약자인 여성 그 중에서도 청소년의 꿈을 향한 도전을 책 속에 녹여냈다.

열 다섯 살의 벼리를 통해서 꿈을 향한 노력과 도전을 보여주고 있다.

마치 지금의 청소년들에게 꿈을 갖고 그 꿈의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기를 바라고 그리고 요즘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

여성으로서 자신이 품은 통역관이 되기 위한 도전은 배울 가치가 있는 것이다.

 

아버지의 목숨과 어머니의 희생으로 얻어진 벼리의 면천은 준비되지 않은 세상으로 홀로 내던져진 상황이다. 열 다섯 살 벼리가 격동의 시대에서 살아가면서 서양 학당의 학생으로 잉글리시를 배우고 양인들의 길잡이를 하며 통역관의 꿈까지 품게 된다.

 

이 책은 벼리가 학당으로 들어오게 되는 계기나 학생으로서의 배움 그리고 늦단이를 만나는 계기,미진 아기씨의 잉글리시 수업, 전기수의 공연에서 역관의 유창한 통변 요소들은 벼리가 통역관의 꿈을 품고 그 역경을 딛고 나아가는 희망을 담고 있다.

책방에서 발견한 잉글리시 자전을 발견한 후 벼리는 언문 자전을 생각해내고 만들어낸다.

언문으로 된 자전이 없다는 얘길 듣고 늦단이와 단어 카드 만들기를 하고 스크랜튼의 도움을 받아 언문 자전을 완성한다. 뿐만아니라, 학업에 관심이 없는 듯 했던 늦단이를 움직여서 자전 만들기 과정에 참여를 하게 만든다.

 

김대감의 여식 미진 아기씨의 잉글리시 배우기 과정이 처음엔 김 대감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작 했다면 역병을 앍고 난 후 미진 아기씨의 생각이 바뀌고 스스로 학당의 세 번째 학생이 된다.

벼리에게도 좋은기회가 주어진다. 바로 미리견으로 유학 갈 수 있는 기회였다. 양의사인 아델라의 추천으로 주어진 기회인데 노비인 어머니를 두고 떠날 수가 없어 고민한다.

 

그리고 미진 아기씨 또한, 양의의 꿈을 갖고 미리견으로 유학을 결심한다. 그리고 벼리와 함께 가자고 제안한다. 그러나 벼리는 노비인 어머니를 두고 갈수가 없다.

그런데 어머니가 면천이 되었다. 김대감이 자신의 딸이 유학 가는데 있어서 벼리와 어머니를 함께 보내기로 결정한다. 물론 김대감을 설득시킨 건 미진 아기씨였다. 그리고 김대감의 결정은 자신의 딸을 위한 결정이었다. 어찌 됐건 미진 아기씨의 도움으로

어머니가 면천 받은 것이다.

에필로그가 이어지면서 이야기는 이어지고 있다. 미리견을 향해 뱃길에 오른 세사람,

그리고 희망을 품고 출발한다.

 

열다섯 살 벼리의 별은 지금도 빛나고 있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꿈을 꾸고 자신만의 별을 빛나게 하도록 응원하고 있을 것이다.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참 좋은 책을 읽은 감동의 여운이 계속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