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단비청소년 문학
김하은 지음 / 단비청소년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라우마-김하은 글

 

학교폭력은 아이의 영혼을 병들게 한다.

이 책은 사이버블링의 학교폭력에 맞서는

용기있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사이버블링 이란 용어도 처음 알았다.

썰물게임, 같은 반 친구들이 누군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닉네임으로

싸킹에 의해 주도되는 사이버폭력의 모습은 층격적이다.

학교폭력의 피해자는 트라우마로 평생을 고통속에 살고 있는데

가해자는 오히려 잘 살아가는 것이 우리 사회의 모습이다.

과거에 비해 묻혀있던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이슈화 되고 있는 것은

이제 피해자들도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도 주인공 세희가 음악소리에 심장이 쿵쾅거리고 숨을

쉴수 없을정도로

약에 의존하고 때로는 의식을 잃어 응급실에 실려가기까지 한다.

그런데 세희는 자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을 못한다.

고통이 무의식에서 기억을 통째로 지워서

기억해내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고통이 크다는 것이다.

스스로 기억을 거부하는 것이다.

피해자가 학교를 옮겨 다녀야 하니 학교생활 적응도 힘든 것이다.

세희는 증거 수집에 집착을 하는데 어떤 이유인지 모른다.

싸킹의 가해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닉네임도 2개를 만들었다.

씨커알수 없음이다.

 

전학 온 다인이로 인해 분위기는 달라진다.

다인이도 썰물게임에 초대했는데 본명으로 들어온다.

점점 용기를 내는 세희 그리고 자신을 따라오는 사람이 낯설지 않은 느낌

그리고 자신의 잊혀진 기억은 스토킹의 피해자였던 것이다.

성폭행까지 당할뻔 한 기억 가해자는 학교 선배였다.

증거가 없어서 처벌도 못하고

학교도 옮겼지만 또 찾아왔다.

세희가 증거수집에 집착하는 이유인 것이다.

싸킹이 누군지 찾아내기 위해 다인과 세희가 용기를 내고

마지막 결전을 치룬다.

다인의 지혜로 학교 선생님과 전담 경찰관과 함께 썰물게임 참여한다.

결국, 싸킹을 찾아냈다. 그리고 반 전체가 학교폭력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이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탁정권이었다.

세희는 자신이 친구들을 의심하고 또 의심했던 모습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리고 학교폭력에 대해 전담경찰관으로부터 교육을 받으면서 아이들은

다시 알게 되었다. 가담만 해도 학교폭력 동조자라는 것을.

스토커 선배일도 해결됐다. 선배부모가 선처를 요구했지만,

차고 넘치는 증거로 세희 부모가 거절했다.

세희는 치유되고 있었다.

친구들의 용기와 그리고 믿음으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있다.

스스로 용기를 내고 약통을 버린 모습에 칭찬해주고 싶다.

 

마음졸이면서 책을 읽었고, 이야기지만

현재 우리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일이라

생각하니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고통속에 살고 있을까?

마음이 아파진다.

우리 아들도 딸도 청소년이다 보니 남의 일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래도 용기를 낸 아이들에게 응원과 감사를 보낸다.

다인과 세희 같은 아이들도 우리 사회엔 많이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학교폭력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어른들이 관심을 가지고

사회가 나서야 한다는 걸 느꼈다.

정말 좋은 책이다. 마음이 아픈 친구들은 용기를,

가해자는 멈추기를 바래본다.

청소년 필독서로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