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없어진 날 단비어린이 문학
조영서 지음, 이여희 그림 / 단비어린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없어진 날-조영서 글/이여희 그림

 

제목에서 아이의 마음이 보인다. 정말 없어지는 것이 아닌

나를 좀 더 봐라봐 달라는 아이의 절실한 외침인 것이다.

이 책에는 네 편의 단편 동화가 실려 있다.

모두 아빠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어린 시절 내게도 아빠는 멋있었다. 크면 아빠한테 시집가야지

이랬던 시절이 생각난다. 물론 나만의 생각이었다.

 

첫 번째 이야기 내가 없어진 날- 재혼가정에서 있을 수 있는 아빠의 이야기이다

새아빠와 적응해 가는 단계에서 동생 임신 소식은 마리에게도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마리말대로 엄마의 일방통보인 셈이다. 생일날 들은 동생 소식으로 인한 마리의 화난 반응은 엄마의 교통사고로 이어지고 그리고 병원에 있으면서 새아빠의 진심을 알게 된 마리의 마음이 열어지는 결말로 이어진다. 그리고 독자들이 상상할 수 있도록 뒷 이야기를 열어주고 있다.

 

두 번째 이야기 목욕탕에서 만난 아이- 사거리 새롭게 생긴 목욕탕을 가고 싶지만 할아버지와 사는 시우는 늘 동내 목욕탕을 이용한다. 목욕탕 영업 마지막날 목욕탕에서 한 아이를 만난다. 시우가 잃어버린 공룡인형이랑 똑같이 생긴 인형을 가지고서 말이다. 아빠랑 왔다는데 탕안에 안보이고 아빠가 없음을 얘기하게 된다. 어깨에 생긴 돼지점이 아이에게도 점이 있었다.

잠수게임 중에 인형만 놓고 사라진 아이 그리고 아빠에게도 어깨에 점이 있었다고 한다.

아빠를 그리워하는 시우에게 아빠가 나타난걸 아닐까? 이런 생각을 해본다.

 

세 번째 이야기 밀가루가 간다- 다른 동화랑 다르게 이 이야기는 홍지의 곰인형 밀가루가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곰인형 밀가루가 홍지를 만나게 된 이야기, 그리고 엄마 아빠의 이야기, 엄마 아빠가 자주 싸우다가 결국 따로 살기로 결정된 이야기, 홍지의 의견은 없었다.

이사하는 날 엄마는 아빠의 짐만 빼고 이사짐 차에 실었다.

떠나는 순간 홍지는 밀가루 주머니에 옆서를 꽂아두고 떠났다.

옆서에는 홍지가 아빠를 생각하는 아이디어가 있었다.

밀가루를 데리고 와야 하는 상황에 동행하는 사람은 아빠였다.

홍지 아빠는 밀가루를 데리고 갔을까? 아마 옆서를 본 순간 빛의 속도로 갔을 것 같다.

 

네 번째 이야기 생각났어 네 이름!-다른 세편의 이야기보다 마음이 아프다.

육아로봇 인공지능 도우미 외모도 사람과 같고 프로그래밍으로 학습효과가 더해져 판단도 할 줄 아는 로봇과 나유로의 이야기이다.

폭력성향의 아빠를 피해 도망쳐나온 유로를 찾아나선 로봇도우미 친구는 아빠로 생각한다.

출장 간 동안 로봇은 유로를 즐겁게 해준다. 영화도 보고 캐치볼도 하고 가족은 없지만 나유로 친구는 있다고 말하는 로봇에게 유로는 이름을 지어주기로 한다.

출장에서 돌아온 아빠를 보는 순간 쿵쾅거리고 아빠의 질문에 제대로 대답 못하는 유로에게 아빠의 폭력성이 나타나고 로봇은 유로를 데리고 여행을 다녀오겠다며 유로와 집을 나간다.

유로를 보살피는 로봇에게 이름을 지어준다. ‘대디

아빠와 하는 캠핑이 하고 싶었던 유로에게 아마도 대디는 즐겁게 캠핑을 떠났을 것이다.

그리고 유로 아빠는 아들이 로봇을 따라간 것에 대해 충격을 받고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며 심리상담 치료를 받으로 갔을 것 같다는 상상을 해본다

 

네 편의 이야기 모두 독자들이 뒷이야기를 이어질 수 있도록 작가는 아이들의 마음을 두드리고 있다.

그리고 우리 아빠는 어떤 아빠일까?를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은 아빠랑 아이가 함께 읽으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