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먹는 국어 독서 비문학 - 수능/내신 완벽대비, 대한민국에서 가장 쉽지만 가장 효과적인 비문학 공부책 고등 떠먹는 (2021년)
서울대 국어교육과 페다고지 프로젝트 지음 / 쏠티북스 / 202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많은 부모들이 어렸을적부터

아이들이 책과 가까워 지도록 많이들 노력하시고 계시죠.

결국은 이런 노력이 아이의 독해력 향상과

국어실력을 위한 노력이 아닐까 싶어요.

하지만 큰아이가 고등을 들어가니 시험을 위한 공부는

또다른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국어를 푸는 지문도 어렵고,

시험마다 새로운 지문을 짧은 시간안에 읽어내고

원하는 답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 쉬운일이 아닌듯 해요

그리고 내신에서도 교과서 외에서도 출제되기에

결국 새로운 지문에 대한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 같아요.

그래서 아이에게 시작된 방학 동안을 함께할 쏠티북스의

[떠먹는 국어 독서 비문학]과 함께 하려고 합니다.


이 책은 하루 1시간 총 21일 구성으로 되어있어

방학을 이용해 푼다면 딱 맞게 풀어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책이에요.

이 책이 좋은 점은 독해에도 습관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더라구요.

자신만의 독해습관이 좋은 것일 수도 있지만 이것이 자칫하면,

글을 제대로 보지못하는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더라구요.

결국 글을 제대로 읽기위해서는 문장을 정교하게 읽고,

문단을 정리하며 읽고, 글의 구조를 고려하며 읽고,

그래프의 경우는 보지 않고 읽는 방법을 권장하더라구요.

과학, 경제 지문을 보면 자주 나오는 그래프 보는 순간

우리집 아이는 미리 당황하고 어렵다는 생각을 떨쳐내기 쉽지 않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그래프 읽는 방법도 알려주기에

우리 아이에게 딱 맞는 교재가 아닐까 싶더라구요.

이 책은 비문학 책으로 인문, 예술, 사회, 문화, 과학, 기술 등의

여러 분야의 글들을 이용해 독해력을 기를 수 있는 연습을 도와주는 책입니다.

앞쪽은 잘못된 독해습과 클리닉으로 되어있고,

두번째 장은 독해력 강화를 위한 솔루션을 구성되어 있어요.

결국 독해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문단을 단순화 하는 방법과

문단 간의 관계 파악, 도식화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그렇다고 모든 글을 이렇게 분석하면서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렇게 글을 읽는 훈련을 하다보면

글을 꼼꼼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힘이 길러질 듯 합니다.


그리고 3강의 문제를 직접 푸는 연습까지 끝맞친다면

국어의 자신감은 상승할 듯 합니다.

또한 각 항목별 출제 경향도 읽어본다면

출제 빈도와 방향성도 파악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은근 국어에 자신있는 아이들도 새로운 지문이 나오는

비문학의 경우는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결국 비문학도 연습에 의해서 실력을 쌓아가야 하는 것 같아요.

덮어놓고 책만 많이 읽는다고 해결될 것은 아니기에

더운 여름 아이와 함께 글을 읽는 제대로 읽는 방법을 훈련하여

다가오는 9월 학력평가에서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네요.

고등에 들어와 국어 성적 올리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게되었는데

더운 여름 짧은 방학동안 열심히 해봐야 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