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한국사 : 신사임당.허난설헌 Who? 한국사 27
다인 지음, 안광현.정병훈 그림, 최인수 정보글, 최태성 추천 / 다산어린이 / 202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의 역사적 위인을 통해

역사와 시대를 배울 수 있는 책이라

항상 아이와 같이 재미있게 읽고 있는 Who? 한국사 시리즈.



 

 

500만 수강생이 선택한 큰 별 선생님 최태성 선생님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는

QR코드도 같이 수록되어 있는 책이다.

 




이번 책은 조선 시대의 두 여인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에 대해 알 수 있는 책이었다.



 신사임당 


신사임당은 조선 시대의 유명한 여성화가 이며

일곱 명의 자녀를 너무나 훌륭하게 키운 현모양처로

지폐에도 나오시는 분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렸을 적부터 그림에 솜씨를 보였던 신사임당

당시 남자에게만 학문을 가르쳤던 시기이지만

아버지는 딸들에게도 글을 가르치고,

종이와 붓을 주며 자신의 재능을 키우도록 해주셨네요.

 

 


잔칫날 빌려온 치마에 묻은 얼룩을 포도송이로 가려진 일화

 

 

 

사임당이 이름인 줄 알았는데 <열녀전>에 태임이라는

 주나라 왕비로 성품과 덕이 높았던 왕비를 본받겠다는 의미로 

호를 사임당이라 지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사임당이 이름인 줄 알았는데 

책을 통해 아이와 나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원수가 그녀의 남편이 되지만 착하고 우유부단하였지만

신사임당을 그 누구보다도 자랑스러워하며 응원해 주는 남편이었다.

그녀의 내조 덕분에 남편은 벼슬을 얻게 되고,

자녀들을 훌륭한 학자와 예술가로 잘 키워내지만

몸이 좋지 못하여 마흔여덟이라는 젊은 나이에 이 세상을 떠나게 된다.



 

 

 

허난설헌 

 

여자라서 밖에 나가면 안 되고,

여자라서 글을 읽을 필요가 없고,

여자라서 이름을 쓸 일이 없는 시대에 태어난 허난설헌.

 

하지만 아버지 허업은

학식도 풍부하고 남자와 여자신분의 높낮이를 따지지 않고

배움에 차별을 두지 않으며 허난설헌을 키웠다.

 



그리고 그녀는 막내 균과 가장 친했는데

바로 그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을 쓴 바로 허균이다.

 

그녀가 결혼을 한 후 그녀의 재능을 인정해 주지 않는

시어머니와 남편과의 상황에서 힘들 때마다 시를 쓴다.

하지만 남편은 여러 차례 과거 시험에도 탈락하고

아들과 딸을 잃고 결국 배 속의 아이까지 잃고

그녀는 스물일곱이라는 꽃다운 나이에

마음의 병을 앓고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난설헌의 사망 소식을 들은 동생 허균은

태워달라던 그녀의 말을 따르지 않고

흩어진 시를 찾아 모아 <난설헌집>이라는 책으로 만들어 낸다.

 

살아생전에는 자신의 집안을 빼고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책으로 만들어 내니

그녀의 시는 중국과 일본의 문인들까지 구해볼 정도로

유명한 책이 되었다고 한다.

 

 

 

 

시대 돋보기를 통해서는 시대의 배경과 생애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인물 연표한국사 퀴즈역사논술을 통해 자기 생각을 써보고,

체험학습으로 오죽헌까지 떠나 본다면 신사임당에 대한 모든 것을 공부할 수 있는 듯하다.

두 명의 강릉이 태생인 조선의 여인에 관한 책이었다.

너무나 재능이 뛰어났지만

여자로서의 벽을 느꼈던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의 이야기였다.

 

아이는 책을 읽다 말고 화를 냈다.

여자이기에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하냐며…….

하지만 유교 시대에 살았던 재능이 많은 그녀들은

사람들에게 그리 달가운 존재는 아니었을지 모른다.

그나마 신사임당은 그래도 집안에서 인정을 받았으나

허난설헌의 경우는 너무나 안타깝다고 느끼는 아이를 보며

지금의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얼마나 좋은 세상인지 느꼈다고 하니 말이다.

 

 

조선의 뛰어난 문장과 예술적 재능을 가졌던 두 여인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