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과 정조, 왕중왕을 다투다 푸른숲 역사 퀘스트
이광희.손주현 지음, 박정제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왕조 51927명의 왕이 나라를 다스린다. 그중 좋은 왕을 꼽으라면 누구를 꼽을까? 가장 많은 사람들은 세종 대왕을 꼽는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정조를 꼽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세종과 정조에게 대왕이라는 존칭을 사용한다. 조선의 모든 왕에게 대왕이라는 존칭을 받지 못했는데, 유독 두 왕에게만 붙을 정도로 큰 업적을 남기신 두분을 알아보는 <세종과 정조 왕중왕을 다투다>라는 책이 푸른숲주니어에서 나왔다.

 

 

대왕이 되기위해서는 왕의 통치능력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의 주변 정세도 도와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이런 상황에서의 우리나라 뿐 아니라 중국의 정세에 관한 설명도 있어서 세종과 정조가 성군이 될 수있었던 이유중 하나를 설명해 준다. 역사적 식견이 없다면 이런 파악이 힘든데 말이다. 그동안 생각해 보지 못했던 가정으로 만약 성군으로 손꼽히는 이 두 왕에게도 외세의 침략이 있었다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과 예술의 부흥은 어렵지 않을까 싶다. 지금 당장 전쟁으로 인해 백성들이 살기 힘든 상황에서 과학과 예술을 발전 시킨다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문맹률을 확 낮춰준 한글을 왜 세종대왕은 만들게 되었는지 아이와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정조가 그토록 꿈꾸었던 수원화성으로의 천도를 통해 백성들이 행복하게 사는 도시를 꿈꾸었던 왕의 마음을 알 수 있는 책이었다. 거기다가 수원 화성을 지으면서 정조는 공사에 동원된 백성에게 일반 노역이 아닌 일의 대가를 지불하는 파격적인 조건과 조선의 과학의기술을 총 동원하여 빠른 시일 안에 완공을 위해 노력했다는 그동안 몰랐던 사실도 새삼 알게되었다.

 

 

 

반짝반짝 역사 연구소의 명쾌한 박사님과 우주 최강 인공 지능 로봇 알파봇이 알려주는 알려주는 조선의 세종과 정조의 모든 것을 통해 아이들은 두 왕에 대해 제대로 볼 수 있는 눈을 키울 수 있는 책이라 흥미있는 책이었다. 서로 다른 시기의 두 왕이지만 비슷한 점이 많은 두 왕중 자신이 좋아하는  왕중왕은 누구일지 이야기 나누어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우리집 아이는 세종, 저는 정조를 꼽았다죠. ^^ 

 

또한 조선의 개국부터 멸망까지 이어지는 500여년중 중요한 사건이 들어 있는 조선왕 보드게임도 아이와 같이 해본다면 조선의 시기별 중요사건도 배울수 있는 시간이라 재미와 공부의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우리가 잘 몰랐던 사실들을 재미있고 쉽게 알 수 있어서 좋아고, 백성을 사랑했던 마음과 두 시대의 뛰어난 신하를 비교하여 견주는 것도 흥미롭게 읽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대목이었다.  어른인 나도 그동안 잘 몰랐던 두 왕을  비교해보고 사실과 깊이있는 역사적 상황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책이라 추천드리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