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 어른과 아이가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
프랑수아즈 바르브 갈 지음, 박소현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매년 전시회가 열리면 아이와 같이 손잡고 미술관을 가는 것을 좋아한다. 처음에는 그냥 그림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러 갔지만, 어는 순간부터는 도슨트의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시간에 맞추어 가곤 했다. 이유는 정말 미술의 세계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딱 맞아 떨어지는 분야라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유는 아는 것이 너무 없이 가면 가서도 ~ 오늘 그림 구경 잘했다이런 느낌으로 발길을 돌려야 하지만, 아는 것이 생긴다면 ~ 작가는 우리에게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이 그림을 그렸구나.’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서 그림에 대한 애착을 갖게 되는 것을 느꼈다.

 

하지만 우리가 전문가가 아닌이상 우리가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마련인데, 이를 해결해줄 책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이라는 책이 동양북스에서 나왔다니 너무 반가웠다.

 

이 책은 아이들이 미술과 친해지는 방법을 유아부터 초등 저학년, 고학년의 순으로 아이들이 미술을 보면 좋은지 나와있다. 그러면서 30개의 작품 속 아이의 눈높이 맞춰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면서 아이들이 질문할 법한 질문 속 해석을 통해 아이들이 그림과 친숙해 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30선 안에도 내가 알고 잘 알고있는 화가의 작품의 경우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작품도 있기에 새롭게 느낄 수 있는 작품들도 있었다. 그리고 내가 잘 알고 있는 화가의 경우도 우리에게 익숙한 작품을 사용하지 않은 듯 하다. 이유는 새로운 작품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에 얽매이지 말고 화가의 작품을 제대로 보는 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주려고 사용한 방법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가 익숙한 작품의 경우는 우리가 미리 선입견을 가지고 볼 수 있을 수 있기에 말이다.

 

책의 표지에 나와있는 칸딘스키의 작품도 책을 읽기 전에는 이런 작품이 있었는지 알지 못했다. 다양한 색을 사용하고 원색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 한다고 생각했던 화가인데 한 작품이지만 아이의 연령별 눈높이로 설명해 주는 책이라, 아이들이 느낄 수 있는 질문속에서 화가의 작품을 설명해 주니 한 작품이지만 다양한 작품에 적용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아이들과 미술관을 다니는 것을 자주하다 보니 이론적인 것에 대한 앎에 치우치고 작품을 편안하게 감상하는 태도를 잊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 시간이었다. 누군가에 의해 정해진 개념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자신만이 느낀 것을 말할 수 있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것이고 작품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는 책이었다. 그동안 내가 하려하는 것이 미술을 편안한 마음으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처럼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닌지 말이다. 또한 그림에 대한 우리가 놓치말한 여러 질문 속 자세한 답을 보면서 우리가 놓지기 쉬운 것을 짚어주니 또 다른 미술을 보는 관점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