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책을 읽다보니 소설류나 인문학책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하지만 어느날 시를 읽어보니 그 안에 많은 생각을 함축하고 있는 짧은 글 안에 많은 것이 나의 관점에서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은 그동안에 삶을 통해 내가 겪게되고 알게되는 우리가 학교 다녔을 때 배운 바로 배경지식이 글을 읽고 느끼데 많은 것을 좌우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글속에 오롯이 주어지는 사실을 읽으려고 했다면, 이제는 나만의 시간에서 느낄 수 있는 시도 매력적이라는 것을 느끼고 있는 요즘이다.

 

내가 한시를 아는 것은 없지만 이번에 나온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는 194명이 쓴 시로 한국, 중국, 일본의 시인들이 쓴 시가 이 책에 수록되어 있다. 아무래도 이 세 나라의 공통점은 한자를 사용했던 문화권 답게 아름다운 시들이 많이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시는 몇 편 안되기에 새로 알게되는 작품들이 더 많아지는 시간이 되어지는 듯 하다.

 

이 책의 구성은 우선 제목과 시를 적어 놓았다.

한글로 해석을 먼저해주고, 시인의 시가 아래 실려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시에 대한 해석이 나와있어서 시인이 어떤 느낌, 상황에서 이 시를 쓰게 되었는지 알게 되니 독자도 좀더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듯 하다.

 

이 책은 천지인풍(天地人風)의 큰 대주제에 각 각 6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하늘과 땅사이에 있는 인간이 어떤 바람을 만나면 순풍이 되지만 잘못만나면 역풍이 되는 인간사에 대한 모든 것이 이 시 안에 들어 있는 듯 하다.




 

녹두장군으로 유명한 전봉준의 시 <운명>

 

때를 만나서는 세상 모두가 힘을 합쳤으되

운이 다하니 영웅인들 어쩔 도리가 없구나

백성 사랑과 정의뿐인 내게 허물이 없건만

나라를 위한 일편단심 그 누가 알아줄까

 

전라도 군수 조병갑의 착취와 동학교도 탄압이 도화선이 된 혁명의 선봉장이었던 전봉준이 자신의 처지를 표현한 시다. 한시이기에 그 뜻을 알기 어려운 나에게 이렇게 한글로 풀이해서 써주니 전봉준의 마음이 읽혀진다. 탐관오리에 대항하여 시작된 그의 싸움이 끝을 못보고 눈을 감아야 하는 전봉준의 마음이 얼마나 서글펐을지 느껴지는 듯 하다.

 

 

두보의 시 <춘망>

 

나라가 깨져도 산천은 그대로

봄이 오니 초목은 푸르러 가지만

시절이 슬퍼서 꽃만 봐도 눈물이고

이별이 한스러워 새를 봐도 놀라네

봉홧불은 석달을 계속 타오르니

집에서 온 편지는 만금이 싸도다

휜 머리카락 긁다 보니 더욱 짧아져

이제 정말 비녀조차 버겁네

 

두보는 이백과 함께 유명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삶은 평탄하지 않았다고 알고 있다. 그런 그가 힘든 삶속에서 떠돌이 방랑 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처지를 읊은 듯한 구절인 듯 하다. 안록산의 난 이후 그가 힘든 삶을 살아가면서 나라가 망해가도 변화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소회를 이야기 하는 듯한 시라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페이지가 나와있지 않다. 그래서 그런지 자신이 그날그날 읽고 싶은 페이지를 읽어도 좋고, 자기가 관심 가는 시인을 중심을 읽어도 좋을 듯한 책이다. 느낌은 그날 그날 다를 수 있고, 우리가 몰랐던 한시와 시인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 되는 듯 하여 값진 시간이 되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