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햄릿 (양장) - 1603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한우리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햄릿이 연극으로 유명한 작품이라는 것은 알았는데, 책을 펴는 순간 책 자체가 대사로 되어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손꼽히는 작품이지만 햄릿의 경우는 읽어보지 않았던 터라 더 재미있었다.

 

덴마크의 왕자 햄릿은 아버지를 갑자기 잃고, 어머니가 숙부와 결혼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화가 난 햄릿은 애끓는 마음을 갖게 되는데, 자신의 어머니인 왕비 거트루드는 곧 왕의 동생 클로디어스와 재혼을 한다니 말도 안 되는 상황이 펼쳐진다. 거기다 더 놀라운 것은 아버지의 장례식이 숙부와 자기 어머니의 결혼식을 병행하여 치러진다니 더없이 기막히 노릇이다.

 

하지만 밤마다 성안에는 아버지의 혼령이 나타나 망루에 보초서는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일이 벌어진다. 그러다 친구 호레이쇼의 도움으로 햄릿은 아버지의 혼령과 조우를 하며 드디어 모든 비밀을 알게 된다. 부왕의 유령은 자신이 숙부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복수를 부탁한다. 또한 아버지가 죽자마자 작은아버지 클로디어스와 어머니의 결혼은 근친상간으로 그 죄가 너무 크다고 이야기한다..

 

성벽 위에서 선왕의 유령을 만난 햄릿은 자신의 숙부 클로디어스가 자신의 어머니를 탐했으며 왕권을 빼앗기 위해 아버지가 잠자는 틈을 타 귀에 독약을 넣어 죽었다는 것을 알고 괴로워한다.

 

이에 복수를 결심한 햄릿은 연극 배우들에게 동생이 형의 권력을 탐내 독살하는 연극을 공연하게 한다. 이를 보고 당황한 숙부 클로디어스는 연극을 보다가 자리를 박차고 나가게 되고, 화가 난 왕비는 햄릿에게 자신의 방으로 오라고 이야기 한다. 연극이 끝나고 햄릿은 어머니와의 대화를 하다가 엿듣는 사람을 발견하고 휘장 뒤의 그를 죽이게 된다. 이것이 이 책의 비극의 시작이 되는데......

 

서로의 잘못된 선택을 통해 인생의 덧없음을 느끼게 하는 햄릿. 햄릿의 명대사인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에 모든 것이 내포된 것은 아닐까 싶다. 또한 이 책이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으로 꼽히는지 마지막을 보면 알게 된다. 마지막은 자신뿐 아니라 주변의 사람들과 같이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스토리를 보면서 인간의 욕망의 최후를 보는 듯하다. 잘못된 시작이 모두를 파멸로 몰고 가는 햄릿을 통해, 자신이 아끼던 모든 것을 놓고 떠나버리는 마지막 장면을 보니 인생의 덧없음을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