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 명언명구 : 본기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
이해원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을 이해하려면 사기를 읽어라.”라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물론 중국의 위인들이야 우리가 손에 꼽으라고 해도 많이 알 것이다. 공자, 맹자, 노자, 순자 등 등 이밖에도 꼽으라면 많이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왜 이리 한비자를 알아야 하는 것인가? 이유는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우리가 인용구로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다. 어찌보면 우리는 뜻만을 그동안 학교에서 배워 알고 있을 뿐 중국인의 속뜻까지 알지 못하였다. 이번책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 / 본기편>은 사건 순으로 정렬되어있고, 역사서라고 한다.

 

목차를 봐도 우리 눈에 익숙한 단어들이 보인다. 백발백중, 분서갱유, 사면초가 등 익숙한 고사성어도 있지만 처음보는 단어들도 많이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동안 고사성어의 뜻에 치중해서 알고 있었던 것이 있었지 언제, 어떤 상황에서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아는바가 적었다. 하지만 이것이 자칫하면 오역을 나을 수도 있기에 한번쯤 고사성어가 나오게된 배경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전한시대의 사마천은 그동안의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를 통해 군자가 지녀야할 자세를 알려주고 있는 한자이다. 아이들에게 소학이 있었다면, 어른들에게는 사마천의 사기를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생각을 책을 통해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사자성어를 통해 역사적인 상황도 같이 알아 갈 수 있으며, 그들의 가르침을 통해 어떤 마음가짐으로 사람이 살아가야 하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사마천의 이야기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외교나 국가행사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는 단순히 인용하는 글귀가 아니라 국익과 직결되는 등 그 쓰임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사이의 성어는 단순한 말이 아니라 중국을 알기 위해서는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이 책에서는 이야기 한다. 학장시절 4단어에 모든 뜻을 응축해서 말할수 있다는 것에 재미와 놀라움을 금치 못했는데, 이렇게 깊은 사상이 담겨 있는 것이었다니, 중국인의 한자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