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아이 때문에 힘들어하는 엄마들에게 - 사춘기 아이의 마음을 열여주는 엄마의 마음공부
이우경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저희가 어렸을 적도 그랬을까요? “요새는 2가 무서워 북한도 못쳐들어 온다.”는 웃지 못할 말이 있다. 사춘기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얼마나 달라졌기에 그런 것일까? 그래서 이번 '사춘기 아이 때문에 힘들어하는 엄마들에게'라는 책은 좀더 책을 통해 아이를 이해하고 싶은 마음에서 선택하여 읽어 보게 되었다.

 

아이가 사춘기가 들어서면서 하는 대부분의 엄마의 생각이 저 아이가 정말 내 아이 맞나?”라고 하네요. 정말 딱 공감가는 말이 아닌가 싶어요. 하루에도 여러번 아이와 부딫히다 보면 감정은 감정대로 상하고 말이지요. 하지만 나는 엄마이기에 다시 책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려고 합니다.

 

사소한 일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엄마를 데면데면하는 아이로 변해버린 아이는 나만 겪는 일이 아니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지속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라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할 듯 하다. 하지만 사춘기가 그냥 지나 가는 것은 아니기에 풍랑을 잠재우고,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하는 사람은 엄마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사춘기는 엄마가 그동안 쥐고 있던 고삐를 아이에게 서서히 넘겨주는 연습이 필요한 시기라고 한다. 또한 사춘기의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부모의 잔소리가 덜했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하니 두 간극을 메우기는 힘들어 보이기는 하다. 그러니 이제는 엄마는 그동안의 행동에서 벗어나 말을 줄이고 아이의 말을 들어보는 쪽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때라고 한다. ‘들어라, 그리고 또 들어라.’ 그러면서 압박감을 주는 대화가 아닌 통찰하는 대화로의 여러 방법을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엄마도 듣고 싶다. ‘사랑해요, 고마워요라는 말을 말이다. 하지만 이것이 안되는 상황이라면 자신에게 즐거운 상황을 하나쯤 만들어 이 상황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장 좋아하는 것 하나쯤 가지면서 기적을 기대하지 말고 자신에게 투자할 수 있는 작은 것 쯤은 하나 있어야 좋지 않을까? 싶다. 이런것에 돈이 많이 드는 것이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하나쯤 말이다.

 

욕심과 집착을 내려놓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으면서 살다보면 이런 힘든 지금의 상황도 지나갈 것이라고 믿는다. 나는 이런 나에게 가끔 커피숍을 가서 책을 읽는 쉼의 시간을 준다. 아니면 내가 좋아 하는 역사동아리 식구들을 만나 아이들에 관한 수다를 떤다거나, 기행을 가면서 마음에 평온을 찾곤한다. 좀 떨어져 있어야지 서로의 소중함을 알 수 있는데 어쩜 아이와 엄마는 많은 시간 붙어있고, 아이를 나의 분신이라 여기니 더 신경을 쓰다보니 더 힘들어 졌던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모두 이시기를 잘 보내기위해 부모도 아이에 대해 알아가고, 엄마도 성장하는 지침서는 꼭 부모로서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