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처 몰랐던 내 아이 마음 처방전 - 몸과 마음이 크게 자라는 우리 아이 성장 수업
위영만 지음 / 더블북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어렸을 적 이 아이가 언제 자라 혼자서 자기의 일을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곤했다. 하지만 아이가 커가니 성장뿐 아니라 아이에게 챙겨야 할 것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특히 아이가 초등학교를 입학하게 되면 엄마도 같은 일학년이 되어 아이를 이해하여야 한다. 하지만 아이를 이해하기에는 너무나 모르는 것 투성이인 나로서 <미처 몰랐던 내 아이 마음 처방전>이라는 책 제목이 나의 시선을 끌었다.

 

 

<미처 몰랐던 내 아이 마음 처방전>20년 정도를 소아청소년 뇌신경질환 치료를 하고 계신 휴한의원 네트워크 원장님이 쓰신 책이다. 병원에서 아이들을 상담치료하신 분이라 책의 내용에 선생님의 임상 케이스들이 책의 이곳저곳에 나온다. 아이를 키우면서 남들과 다른 아이들을 보면서 부모는 걱정한다. 하지만 이것은 그냥 지나칠게 아니라 아이가 도움을 요청하는 시그널이라는 것을 부모는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틱 전문의답게 아이들이 하는 좀 이상한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한다. 종종 틱장애가 시작되기 전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거나 손을 빠는 습관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단순한 버릇으로만 보아서는 안된다고 이야기 한다. 즉 자신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표출하는 것으로 부모의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이다.

 

불안에 대한 여러 케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걱정이 많은 아이, 시험을 망칠까봐 걱정하는 아이, 무대 공포증에 대한 이야기 등 이 있다. 내용의 중간중간 이런 상황에서 부모의 대처방법과 아이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주어서 불안도를 낮춰 주어야 하는 이야기도 있어서 자신의 아이와 비슷한 케이스가 있다면 읽고 참고하는 것도 졸을 듯 하다.

 

사춘기 정말 무서운 시기죠. 요새 10대가 무섭다고 느끼는 시기가 바로 이때인 듯한데요. 어릴적 공격성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로 인해 발생한다면, 사춘기 시기의 반항은 사고도 컸기에 어느 정도의 반항은 정상이지만, 너무 지나 치다면 잘 살펴보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책을 읽으면서 들게 되었답니다.

 

스트레스와 뇌문제로 인한 수면파괴, ADHD의 조기 치료의 중요성, 본인의 의지가 아니어서 더욱 괴로운 틱에 대한 것과 가벼운 자폐증인 아스퍼거증후군 등 아이를 키우는 많은 엄마들이 힘들어 하고 알고 싶어하는 증상에 대한 이야기가 책에 많이 나와 있습니다.

 

아이를 낳는다고 아이가 스스로 커가는 것은 아닌 듯, 각 시기마다 부모로서의 역할이 분명 필요한 듯 하다. 적절한 부모의 관찰을 통해 내 아이가 혹 가지고 있는 증상이 치료를 필요로 한 것이 아닌지 살펴보고 때에 따라서는 과감한 선택과 치료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아이의 큰 버팀목은 부모이기에 따뜻함과 보살핌으로 아이의 안정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정말로 부모는 되기 쉬우나 정말로 진정한 좋은 부모가 되는 것은 힘들다는 것은 또 한번 느끼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