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세이 1
민경우 지음 / 매직하우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이라는 것이 학창시절 많은 사람들을 왜이리 힘들게 하는지.... 수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왠지 작아지는 것을 느끼는 것은 비단 나만의 느낌일까? 하지만 나의 자식만큼은 나처럼 그렇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나의 욕심은 아닐까? 하지만 어찌보면 나는 점수를 받고자 하는 욕심만 앞섰지 수학을 배우는 즐거움에 대한 것은 느낄 수 없었기에 그랬던 것은 아니었는지 생각해 보곤 한다. 이번 <수학에세이>라는 책을 보며 수학과 에세이가 통하는 점이 무엇일까? 라는 의문이 생겼다.

 

이 책은 수학강사로 현장에서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고 계신 민경우 선생님이 내신 책이다. 수학이라는 학문이 만들어 진데는 분명 수학적 배경과 역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은 쏙 빼고 수학을 하나의 학문으로써 기계처럼 풀어서 맞추는 데 방점을 두고 있기에 선생님은 현장에서 이런 재미있는 수학과 관련된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해주시다 한다.

 

<수학에세이>에서는 크게 수, 대수, 기하, 미적, 확률 이렇게 다섯 부분에 대한 에세이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10진법이 혹 우리의 손가락이 열 개이기 때문에 사용되어진 것은 아닐까? 하지만 숫자 10만큼이나 0도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초등수학의 기저에는 1이 있다면 중등수학은 방정식과 함수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수와 0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것이 현대 수학의 꽃인 좌표의 세계로의 입문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분수령이라는 것이다.

 

이밖에도 곱셈과 구구단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는 것은 농작물을 생산하고 이를 분배하는 사회 시스템이 대규모적으로 조직되고 활용되었음을 뜻한다고 한다. 또한 곱셈과 구구단은 인류가 고도로 문명화되고 조직화 되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징표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다보면 고대 수학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 연역법과 귀납법 등 기하학이 일찍 많은 발달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관점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지만 산술과 대수에서는 취약하였다니 지금의 교육과정에서는 말이 안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수학에세이>라는 책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스토리로 수학적 접근을 하는 책이다. 따라서 수학적 이론서는 아니지만 우리가 수학을 배울 때 느끼는 이것이 어디에 쓰이기에 이런 것을 배우나?가 아니라 정말로 수학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문이구나를 알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점수를 따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목이라는 접근으로 수학을 공부하기 싫어할 것이 아니라 수학과 과학 모두 우리의 생활을 발전시키기에 큰 공헌을 한 학문으로서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