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책 -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덮이는가
이동학 지음 / 오도스(odos) / 2020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쓰레기책>이라는 제목의 책이 오도스에서 나왔다. 부제목은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덮이는가?> 라는 책이다. 책표지에는 동그란 눈을 가진 예쁜 아이가 쓰레기 더미 속에서 우리를 쳐다보고 있다. 왜 저 어린 아이가 쓰레기 더미 속에 있는 것일까?

 

 

저자가 지구 유랑을 떠나기 전만해도 지구는 인간이 점령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세계 여러곳을 돌아다니다 보니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플라스틱이 아닌가라고 의문을 던지며 이 책은 시작된다.

 

산업이 발달하고 풍족해 지면서 우리에게는 쓰레기 문제라는 큰 숙제가 우리에게 닥쳤다. 단순하게 버려지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쓰레기가 우리가 사는 공기, 토양, 해양, 대기를 모두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고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하루에 눈을 떠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생활하다 보면 가정에서도 많은 양의 쓰레기가 쌓이곤 한다. 그럼 그런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쓰레기는 어디로 갔던 것일까?

 

이 세상 사람의 손길이 닿는 곳에는 그게 땅이든 물이든 관계없이 모든 곳에 쓰레기는 존재한다고 한다. 우리가 쓰레기를 휴지통에 버리는 순간 사라지는 것이라 생각하지만 우리의 눈에서 사라질 뿐 이것은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나라들도 자신의 나라의 쓰레기 처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 컨테이너 속에 쓰레기를 넣어 힘들게 살고 있는 지구촌 나라에 그냥 비용을 지불하고 버리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하루 소득을 쓰레기로 벌어들여야 하는 아직도 낙후된 나라에서는 이것이 주 수입원이 되는 경우가 있다니 참 아이러니한 세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쓰레기가 우리를 위협해 오고 있는 상황에서 눈 가리고 아웅 할 그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필요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올바른 분리배출로 재활용 및 재사용 비율을 높이거나 플라스틱 생산을 지양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이 책에는 나와있다. 풍요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닥친 지금의 숙제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하고 있는 우리가 반듯이 해결해 가야 할 숙제이자 미래의 후손들에게 좀 더 나은 환경을 물려주어야 하는 우리의 과제가 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동안 함부로 쓰고 버린 불필요한 플라스틱, 스티로폼, 비닐 등이 아무렇지 않게 사용되었지만 이제 더 이상의 남용은 우리의 후손들을 위해서도 줄여야 하지 않을지 생각해 보아야 할 시기가 된듯하다. 우리가 아루렇지도 않게 지금도 버리고 있는 쓰레기로 인해 우리의 지구는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나 하나쯤이야 하는 안일한 생각이 아니라 정말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도록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