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마리 토끼 잡는 독서 논술 D단계 2 (초5~초6) - 독서 + 사고 + 통합교과 능률 세 마리 토끼 잡는 독서 논술 D단계 2
지에밥 창작연구소 엮음 / NE능률(참고서)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와 D1교재로 공부를 시작하고 벌써  D2교재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1권 교재도 너무 좋은 글과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어 2권도 기대만땅하고 시작하였는데 마무리네요.^^
이 교재는 독서와 논술의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교재에요.

 

 

4주차 마무리 주제는

설명하는 글은 어떻게 쓸까요? 입니다. 글쓰기 정말 쉽지 않잖아요.

 

이야기는 설명하는 글쓰기를 걱정하는 친구 두리가 나옵니다. 노는 건 자신 있지만 책이라면 담을 쌓고 사는 두리는 지호에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 놓습니다.

 

똑똑한 지호는 선생님의 말을 그대로 암기하고 있네요.

설명하는 글이란 읽는 사람의 이해를 목적으로 정보와 사실을 전달하는 글이라고 알려주고 있어요. 그러면서 경복궁에 대해서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어 보는 것에 답해 주고 있어요.

 

 

 

 

 

설명하는 글의 가장 큰 특징은 정확한 사실만을 써야 하므로 주관적인 의견이나 느낌은 빼고, 사실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쓰도록 알려주고 있네요. 우리 주변에 설명하는 글이 많이 있다고 알려주고 있어요. 공연의 안내책자, 기계사용 설명서, 음식 만드는 방법 등이 설명하는 글쓰기의 예라고 하네요.

주변에서 항상 읽고 봤던 것이지만 생각을 못하고 살았었나봐요^^ 이런 것이 설명문의 예라는 것을 생각해 본적이 없었거든요.

 

그러면서 지호의 얼굴도 펴지네요. 그러면서 글 두 개를 비교해 주네요. 어려운 낱말이 많이 섞인 글쓰기와 누구나 읽기 편한 글쓰기를 비교해 주고 있어요. 즉 요새 법률 용어를 누구나 이해하기 편하도록 바꾸자는 이야기랑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를 해주더라구요^^

 

 

 

 

 

그러면서 두리는 지호와 같이 집에와서 알려준대로 설명하는 글쓰기를 해봅니다. 주제는 종이 고리 마술사즉 뫼비우스의 띄의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고리를 만드는 것이라는데, 글이라고 다 글이 아니죠. 지호의 가르침이 한 번 더 들어가요.

머리말, 본문, 맺음말의 순서로 정리를 하면 좋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지호가 집에가고 두리는 공책을 펴고 고민하다 치타에 대한 이야기를 쓰기로 결정합니다.

우선 자료를 책을 통해 조사하고 구체적 써보기를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분류와 분석의 방법을 통해 치타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하네요.

 

 

    

 

 

 

그리고 친구의 마지막 조언. 머리말에는 치타가 어떤 동물이고 치타의 특징 중 무엇을 집중적으로 설명할지 쓰라고 조언합니다. 본문에는 비교와 분석의 방법으로 치타가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어떻게 사냥하는지 설명해 줍니다. 맺음말은 본문에서 설명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글을 마무리 하면 됨을 알려주네요.

드디어 두리의 원고가 완성되었어요^^

 

 

 

 

친구 지호는 과연 무슨 내용으로 썼을 까요? 일기도에 관해서 썼어요. 역시 수준이 남달라요.

 

   

 

 

설명하는 글쓰기에 자신이 붙은 우기는 이제 엄마가 챙겨준 약봉지를 보고도 설명하는 글로 바꿔서 생각해 보네요^^

 

 

 

마지막 회차에 다시 설명하는 글을 쓰는 방법과 설명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 지 알려주고 있어요. 또한 설명하는 글과 주장하는 글의 차이점도 알려주고 있네요^^

 

    

 

또한 세 마리 토끼잡는 독서논술을 하면서 느끼는 점이지만 정말로 글쓰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아이와 저가 느끼게 되네요. 아이도 이번 글을 읽고 쓰면서 문제 푸는 것은 그닥 어려움이 없었지만 조언을 많이 구하더라구요. 우리 아이도 두리와 같은 아이라서요^^

 

그래서 이 번에는 자신이 두리가 되어 머리말과 맺음말을 써보는 것이 있었어요. 물론 부족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 없지요. 이번은 많이 칭찬과 함께 수정보다는 아이에게 다음에는 더 첨가해서 쓰면 글이 더 풍성해 질 수 있다는 것을 알려 주었습니다. 글쓰기 과정 정말 어른인 저도 힘들지만 끝이 없네요.

 

또한 요새 아이들 카톡 등 메시지를 보낼때도 저는 한번에 긴글 보내고 마는 편인데, 요새 아이들은 짧은 문장으로 여러번 쪼개서 보내는 것을 선호하더라구요. 그러다 보니 더더욱 긴글을 쓰는 것을 힘들어 하는 것이 보이네요.

 

 

설명하는 글쓰기가 사실을 근거로 쓰는 것이라 쉬울수도 있지만, 글을 쓴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어려운 과정인 듯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글을 교과서를 통해 읽어봤지 스스로 글쓰기의 과정을 거치는 아이들은 많이 부족한 듯 싶어요. 이번 글을 통해 아이와 설명문이 무엇인지 글을 쓸때는 어떤 준비와 과정이 필요한지 알게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