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없다의 방구석 영화관 - 영화를, 고상함 따위 1도 없이 세상을, 적당히 삐딱하게 바라보는
거의없다(백재욱) 지음 / 왼쪽주머니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유튜버 거의없다의 에세이.

영화걸작선에서는 망한 영화를 다루지만, 이 책에선 거의없다가 좋아하는 영화를 주로 다루고 있어 흥미롭다. 특히 호러영화, 그중에서도 슬래셔 장르의 공식과 그것이 확립되고 클리셰가 되고 깨지는 과정을 설명해 주기도 한다. 

영화를 볼 때, 그 영화가 탄생하게 된 배경 그 영화가 다루는 시대상을 알고 보면 훨씬 풍성하게 감상할 수가 있는데 몇몇 영화들은 그런 배경 설명을 함께 해주어서 (저자의 의도가 아니라고는 하지만) 역사, 사회적 지식까지 알게 된다.

그가 유튜버가 된 이유, 이렇게 많은 영화를 봤던 이유, 어떻게 그 작은 장면들을 기억했다가 편집에 사용했을까 했던 이유를 알게 된다. 역시 자신이 좋아하고 재미있어하는 일에서 많은 에너지가 발생한다. 세상을 살짝 꼬나보다가 자기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기 가치관대로 하는 것이 하는 이도 즐겁고, 보는 이도 좋다. 

거의없다가 진행하는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재미있고 자꾸 뭔가 배우게 된다. 그가 만들어내는 창작물이 매우 뛰어나기도 하지만, 그의 성실함도 은근히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미래를 보장할 수 없는 일을 붙들고, 흥이 나서 자기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었을 그 작업 분위기가 상상이 된다. 

그의 콘텐츠에서도 배우지만, 삶의 태도에서도 배우게 된다. 

고생도 할 만큼 해 본 것 같고, 고독한 시간도 겪어 본 것 같은데, 약간 빡친듯한 말투와 시니컬한 내용으로 말하면서도 유머를 갖고 있는 그의 화법도 꽤 마음에 든다. 유머 치자고 각 잡지 않았는데 유쾌하다. 자기 생각을 해왔고, 그것을 발언하면서 그에 대해 얼마든지 책임 지거나 논증할 수 있다는 자신 있는 태도가 느껴진다. 

좋은 영화도 많이 추천해 주고 있는데, 이미 봤던 영화는 다시 보고 싶어지고 안 봤던 영화는 꼭 보고 싶어진다.

불안과 외로움. 매우 자주 느끼는 감정이다.

하지만 그런 길을 이렇게 당당하게 헤쳐 온 사람이 있어, 어떤 희망을 느끼면서 나를 점검하고 정진하게 되는 것이다.

가볍게 읽으려 했는데, 은근히 존경심을 갖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