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여 안녕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프랑수아즈 사강은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로 강렬하게 기억에 남은 작가이다. 1954년에 18살 대학생이던 시절 쓴 소설을 지금 읽는데도 시대의 변화를 크게 느끼지 못하겠다는 것이 놀랍다.

생트로페에서 아버지와 여름휴가를 보내고 있는 세실에게는 아버지의 연인 엘자와 뒤늦게 도착한 안이 곁에 있다. 젊은 청년 시릴을 알게 된 세실은 제멋대로의 삶을 즐기고 싶지만 우아하고 품위 있는 안은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 안은 바람둥이 아버지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결혼을 앞두고 있다. 안에 대한 반발로 세실은 자그마한 복수를 결심하고, 아버지는 결국 천박하게 여겼던 엘자와 한눈을 팔고 이를 발견한 안은 자신도 그의 정부에 불과했음을 알고 깊은 슬픔을 느낀다. 파리로 향하던 안은 자동차 사고로 죽고(작가의 회고에서 사강은 안이 핸들을 절벽 쪽으로 일부러 틀었다고 말한다.) 세실은 안을 얼마나 사랑했었는지, 그녀가 떠나고 난 후 다시 보는 시릴이 얼마나 시시한지를 느낀다. 뜨겁고 비극적인 여름을 보내고 난 세실은 말한다. 슬픔이여 안녕이라고. Bonjour Tristesse.

의외인 점은 슬픔이여 안녕의 ‘안녕’이 굿바이가 아니라 봉주르라는 점이다. 뜨거운 시절을 보내고 주인공은 담담히 슬픔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다. 쉽게 읽을 수 있고, 진지한 잣대로 보자면 시릴과 엘자가 왜 이리 어리석게 움직이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구석도 있지만, 저잣거리에 나와 있는 인간의 마음이란 이렇지 않을까 공감하게 되는 면이 분명 있다.

강렬하고 날카로운 순간의 욕망을 느끼고 감지하는 세실을 보게 된다. 그리고 지금 나는 얼마나 나의 욕망을 읽고 있는지 묻게 되며, 지나온 세월만큼 슬픔과 인생의 무게를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는지 묻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