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애니멀 - 인간은 왜 그토록 이야기에 빠져드는가
조너선 갓셜 지음, 노승영 옮김 / 민음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왜 이야기에 빠져드는지를 분석한 책. 우리 몸은 ‘지금 여기’라는 시공간에 갇혀 있지만 상상력을 이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킨다. 진화의 단계를 거쳐온 인간에게 선사시대로부터 이야기가 왜 필요했을까를 분석한다. 진화는 무지막지한 실용주의자인데 말이다. 인지적 놀이, 사회적 접착제, 픽션을 통한 현실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이 진화를 거듭하면서도 이야기가 인간을 떠나지 않는 이유라고 한다. 한편, 이야기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도 설명하는데 바그너의 오페라 <리엔치>를 관람한 후 히틀러는 세계를 무대로 바꾸어 놓았다는 점도 덧붙인다. 독자의 태도가 픽션에 점차 동화되는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픽션에서 폭력적이고 반사회적인 내용이 그려진데도 그 바탕에는 더 강력한 도덕적인 메시지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도덕주의자들의 주장에는 반박한다. 히틀러와 나치는 자신들을 통해 픽션의 강력한 힘을 알았기 때문에 그들 정책에 방해가 되는 작가의 책을 불태워 버린 것도 그 이유다. 이야기의 미래에 대한 장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서사구조는 리얼리티 쇼는 물론 게임에도 적용되어 독자는 가상현실에서 쌍방향으로 자신이 이야기를 만들며 주인공이 되는 강렬한 경험을 더욱 사랑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짚는다.

책을 마치며 작가는 이야기는 인간이 존재하는 한 영원히 함께할 것이기에 상상을 멈추지 말 것과 지금 바로 소설책을 읽어볼 것 등을 조언한다. 인간이 이야기, 픽션을 찾는 이유는 새롭고 신기한 것을 바라서가 아니라 보편적 이야기 문법이 주는 낡은 위안을 얻기 때문이라는 지적에는 안도감을 느꼈다. 스토리텔링의 힘을 이해하고 이야기가 어디에서 왔는지, 왜 중요한지를 알더라도 이야기의 매력은 조금도 줄지 않으리라는 점이 결론이다.

명석한 내용과 분명한 문장이 이 책을 즐겁게 읽게 해주었다. 작가도 작가지만 노승영 씨의 번역도 굉장히 만족스러웠다. 옮긴이의 말을 읽으면서 번역자에게 호감을 느껴보기는 처음이었다.

한 번 읽어서는 부족한 듯 하고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