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록 공부가 재미있어지는 순간 - 공부에 지친 청소년들을 위한 힐링 에세이
박성혁 지음 / 다산3.0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 공부를 잘 했던 학부모도, 공부를 못했던 학부모도 공통점이 있다. 자식에겐 한결같이 '공부하라'고 강요하면서 학생 본인보다 학업에 더욱 집착한다. 이것이 우리 사회의 보편화된 일면이다.
그러니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는 식상한 표현과 비슷한 선상에서 학교에선 정작 내게 필요한 것을 가르치지 않는다거나 학교공부와 내 꿈은 다르다는 말로 자기 주장을 내세우는 학생도 있기 마련이다. 반면 안타깝게도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조차 생각하지 않는 학생도 많다. 언제나 부모가 판단 해 주었기 때문에.
만약 학교도 가지 않고 춤 연습만 하는 조카녀석에게 공부 얘기를 꺼냈다가는 십중팔구 가수되는데 공부와 대학은 필요없다는 말을 듣게 될 것이다. 한편으론 수긍되기도 하지만 그 철학적 근거가 빈약하다는 것 역시 알고 있다. 부족한 경험에서 나오는 서투른 자신감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 더구나 자기의 미래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는 학생이 이들 중에 숨어 있는 것도 보인다.
하지만 어른이라는 나도 딱히 이렇다할 말도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 결국 혼자 되뇌이는 말이라곤 '너도 학교 졸업해서 사회생활 해봐라'정도이다.
학교를 중퇴하고 성공한 가수, 운동선수, 예술가들이 매체를 통해 학생들에게 공부보다는 하고 싶은 걸 하라고 종용할 때조차 학부모들이 할 수 있는 말이라곤 '그래도 학교는 졸업해야지...'정도 이다.
이미 기성세대인 우리는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 결국 다음 세대에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고민을 해봤던 학부모라면 반가워 할 책이 출간됐다. "이토록 공부가 재미있어지는 순간"은 힘들게 학창시절을 관통하고 있는 지금의 학생들에게 용기를 주는 책이지만 그에 앞서 고민하는 학부모를 위한 책이기도 하다. 이 책으로 힐링을 받는 사람은 학생들보다도 오히려 학부모들이 아닐까 싶다.

아, 이렇게 편파적으로만 말하면 학생들 입장에선 '책 제목도 마음에 들지 않는데 또 공부하라는 책이 나왔구나'라고 선입견이 생길 수 있을 것 같다.
학생들 입장에서 본다면 그 동안 부모님조차도 공감해 주지 못했던 내 마음을 귀담아 들어주고, 수고했다고 다독여 주고, 얼마나 힘들었을까라고 같이 울어주는 책이다. 무엇보다 정말이지 막연하기만 했던 공부에 대한 모든 것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그러니 어차피 공부하지 않는 시간 중에 편한 마음으로 이 책을 꼭 읽어봤으면 한다. 이 책을 읽고 그냥 마음만 바꿔 먹으면 되니까.

- 난 학창시절에 어지간히 공부를 안했었나보다. 마흔이 넘은 나이에도 구구절절이 가슴을 후비고 들어와 밑줄 긋게 만든다.
프롤로그에서 "저는 믿습니다. 그 누구라도 '공부하는 이유'를 붙들고 고민하다보면 틀림없이 '공부할 마음'이 생긴다는 것을요."라고 말하는 저자는 처음부터 학생들이 처한 상황에서의 심리상태를 집요하게 파고 들어가 공감으로 마음을 열어간다. 그리곤 간절하게 호소한다.
- '진짜 나'에게 한 번만이라도 기회를 주세요. 뜨거운 힘 한번 발휘도 못해보고 싸늘하게 식어버리고 굳어버리기엔 너무 아깝잖아요. 내가 나한테 너무 미안하잖아요. (24쪽)
- 절대로 포기하지 마세요. 내가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나는 결코 늦지 않았습니다. (27쪽)
이 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공부는 인생의 목적이 아니라 과정이다.
2. 공부 자체는 마음을 단련시키는 과정이다.
이것을 기성세대인 학부모가 모를리 없다. 오히려 뼛속 깊이 각인되어 있다. 그러니 자꾸 훈계하려 들고 강요했던 것은 아닐까. 반면 학업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에겐 이것은 추상적이고 막연하기만 할 것이다. 대체 나더러 어떻게 하란 말인가? 결국 이 두 가지를 어떻게 풀어가느냐가 관건인데 저자는 고백과 체험, 공감과 격려를 도구로 사용한다.
저자는 시종일관 바로 앞에서 강의하는 듯한 말투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하지만 다정하고 친근한 말투이다. 저자의 진심이 말투에도 녹아 있다. 누구나 거부하는 '훈계하려고 덤비는' 말투가 아니다.
모두 4개 파트,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파트는 저자의 고백과 함께 학생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주제를 먼저 던진다. 공부는 마음을 다잡는 연습을 하는 것이라고. 그리곤 마음 다지기, 마음 키우기, 마음 붙잡기를 각 파트의 제목으로 하여 이야기를 풀어간다.
각 장의 시작 부분에는 내용과 부합하는 명언을 2개씩 싣기도 하였는데 분류된 소제목과 더불어 촌철이 된다. 각 장의 마지막 문장은 반드시 '나는 믿습니다.'로 시작하는 격려의 말도 빼놓지 않고 있다.
각 파트가 시작되는 페이지와 각 장의 끝에 Beyond Story라는 별도의 마무리 페이지를 통해 내용과 연결되는 감명 깊은 이야기들을 실어두어 읽는 이의 감성에 진한 자국을 남긴다.
저자가 오래 전부터 구상하여 8년만에 출간된 책이라 그런지 그 구성에도 빈틈이 없다.
저자는 학생들에게 이 책을 천천히 조금씩 나누어 읽으라고 조언한다. 공부하는 틈틈히 한 장章씩 읽어보고 생각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라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받은 자극에 당장 결심을 하여도 사색의 시간을 갖지 않는다면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지 못한 채 단기적인 이벤트로 끝나리라 우려하는 것이다.
고민을 잘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사색하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마지막 13장의 부모님에 대한 내용은 가슴 뭉쿨하게 만들고 이어서 에필로그에서 소개된 저자와 스승과의 인연은 감동하게 만든다. 그렇게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땐 뜨거워진 가슴을 느낄 수 있다.
에스트로겐 분비가 늘어나는 중년이라 그런지 하마터면 눈물까지 흘릴 뻔 했다.
예전에 어느 고고학자가 신석기시대 동굴 벽화에서 상형문자를 해석하니 '요즘 애들 버릇없다'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어느 시대나 젊은이들을 바라보는 기성세대의 시각은 본질적으로 똑같은 것이다.
쌍팔년도 이등병이나 병아리를 상징하는 노란색 어깨견장을 차고 있는 21세기 이등병이나 힘들다는 마음의 무게는 똑같다.
마찬가지로 신석기시대 젊은이나 지금의 학생들이나 인생을 배워가는 과정에서 겪는 고민과 사색의 깊이는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요즘 애들'이라고 치부하며 '나 때는...'이라고 비교하기 전에 이 책의 저자처럼 학생들을 고뇌하는 '한 사람'으로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나는 브라이언 트레이시나 스티브 코비 같은 자기계발 전문가를 대학 졸업 후 뒤늦게 알게 됐다. 그들의 책을 보면서 '이런 책들을 일찍 접했더라면...'이라고 생각한 적도 많았다.
드디어 이런 청소년을 위한 자기계발서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지... 나중에 내 딸아이에게도 전해주고 싶다.
가능하면 많은 학생들이 이 책을 접하고 단지 성적만 좋은 인간이 아니라 각 분야에서 가슴이 따뜻한 인재로 성장 해 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