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 동물기 6 - 실러캔스를 찾아서 화석 동물기 6
다카시 요이치 원작, 요시카와 유타카 그림, 주정은 옮김, 양승영 감수, 좌용주 해설 / 자음과모음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실러캔스

이책은 실러캔스에 대해 나와있다.

실러캔스는 공룡이 나오던 시대에 살았던

물고기이다.

하지만,

실러캔스는 어느 한 어부의 그물에 잡혀

올라오게 됬는데, 그 어부는

실러캔스를 놓아주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분명 어디바다 심해에

살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이유는 공룡시대에 살았던 물고기가

아직도 살고있다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과 과학자들은

실러캔스가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주장한다.

ㅇㅅㅇ:박선용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곳만은 꼭 살리자
김남석 지음, 최상훈 그림, 김창윤 사진 / 예림당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이곳만은 꼭 살리자

이책은  환경을 보호하자는  맘으로쓴책이다.

맨처음은 양양 남대천이 소개된다.

양양 남대천에서 사는 물고기는 연어이다.

연어는 치어때 살던곳의 물의 냄새를 맡고

기억해서 산란을 하기 위해 다시 온다는

물고기로 유명하다.

두번째로 열목어가 소개된다.

열목어는 10초동안 발을 못담그는 차가운 물에서

산다.

그리고

생김새는 몸에 큰 점들이 있고, 눈이 빨갛게

보인다.

그래서 사람들은 열목어가 열이 많아서

차가운 물에 산다고 한다.

세번째로

얼음골이 소개된다.

얼음골은 무더운 여름에도 돌사이에 얼음이 있을정도로 시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여름에 얼음골로 향하게 되지만,

그 주위는 돌로 이우어져 있어, 얼음골의 입장을 통제하고있다.

네번째로 독수리가 소개된다.

독수리의 낙원인 파주두리지가 나온다.

독수리는 날개가 크며, 웬만한 크기의 먹이도

다 먹어치운다.

마지막으로

황복이 소개된다.

황복은 한강이 맑았을때

잠실부근에서도 잡혀왔지만, 지금은 임진강에서

산다.

그래서

주민들은 황복이 더이상 멸종되지않게

황복 살리기 운동을 매년으로 운동한다.

그래서

어부들은 황복이 그물에 잡혀 올라오면

금덩이가 잡혔다고 말한다.

ㅇㅅㅇ:박선용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똥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20
허순봉 지음, 송회석 그림, 박완철 감수 / 예림당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똥에대한  중요성을  알게해준다.  비둘기똥은  만병통치약이다.   소똥으로   벽돌을  만든다.    코끼리똥은   종이박스 ,종이,  광고지등 많은 용도로쓰인다.    그만큼  똥은중요한것이다.  만약에  똥이없다면  종이도 못쓰고,  보신약으로사용 하지못한다.  그러므로  똥은 더러운것이아니다.   그리고  똥은 여러가지이다.   특히 바나나똥처럼   생긴똥은   건강한똥이다.  누구쯤  한번은 걸려본 변비!!!!!!!!!!!!!!!!!!!!!!!!!!!!!!!!!!!!!!!  변비는   똥이  딱딱해져   대장이 못밀어내서  생기는   현상이기때문이다.  그러므로 변비걸린사람은   건강에  문제가 있기때문에  병원에  가서  의사에게  진단을  받으면된다.   모두  건강하시길................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주홍 2011-05-26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똥이라서 좀 그렇다.

강지우 2011-06-19 2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이 박썬용~^^ 처음오네 ㅋㅋ

강지우 2011-07-19 18: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맞아 똥 이라니 아 ㅋㅋㅋ 대박터졌네
 
Why? 전통과학 - 2판 Why? 초등과학학습만화 48
허순봉 지음, 송회석 그림 / 예림당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만화에나오는  꼼지와엄지는  민속촌으로간다.    거기에서 가이드인 김도령을만나   전통과학에간다.  엄지는 옛날것을 싫어한다. 처음에는  구석기-신서기-청동기-철기의  문화재에 배운다.   그리고  한지만드는 방법과  독을만드는방법이 나와있다. 참고로 독은  사람을 죽이는독이 아니고,   항아리이다.  독은  싸고   국내적으로   잘팔렸다.  그리고 독은  숨을쉬기대문에  김치가 잘 익는다.  그러므로 특히  평민에게  잘팔렸다.  그리고  또   해시계와 물시계가있다.    해시계는해로보고   물시계는   물을 측정해보는것이다.    그리고  바질수없는    문화재는바로    팔만대장경판이다.   답사를하는동안   엄지는   옛날사람들의  지혜를깨달은다.     그리고  꼼지와 엄지는 답가를마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지우 2011-07-19 1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why? 책 많이 보구나?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 책 읽는 가족 11 책읽는 가족 11
이금이 지음, 원유미 그림 / 푸른책들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주인공의  이름은  영무이다. 

  영무의 친척인  수아는  맘대로병에걸렸다.  

   수업시간에  허락도없이  화장실에가기,  수업시간에  학급문고에앉아  책읽기등등  수아는  원래부터  이런거은아니었다.  

  아기때  스트레스를  너무많이받으면   경기를 일으켰는데,  그럴때  병원에 가서  손을  따야하는데,  수아는 못 따서  맘대로병에 걸린다.   

  내사촌인데도    가끔  수아가  귀찮다. 

  그리고  내단짝인  성남이는   수아를 좋아한다. 

  하지만  수아를마음속에만   담아놓는다. 

  그리고  나의  별명은  열무다.  

 수아도 나한테     열무  열무 한다.  

  그래서  짜증이난다. 

  하지만  성남이에게도  별명이 있다. 

  바로!!!!!!   나머지대장이다.  

 왜냐하면   매날  수학문제를  못풀어교실에  남기때문이다.  

 그리고  내가키우는  개가있는데,  새끼를낳아서  수아한테  주었다. 

  수아네에도 ,  꽃사슴이 있는데,    수아가  자기네  꽃사슴이새끼를 낳으면  준다고하였다. 

  하지만  수아는곧  이사를간다.  

   수아가  이사를가고나서  우리반아이들이  실망하였다. 

  수아가없으면,  모든일이  재미가없기  때문이다.  나도 좀 아쉬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유민 2011-05-12 2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날이아니라맨날아닌가??!!죄송크크

강지우 2011-07-19 1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와 애들다 테런그림이내 야 초원이랑 너랑 딱어울린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