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내려놓으니 내가 좋아졌다
네모토 히로유키 지음, 최화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자신에게 너무 엄격한 삶을 살아가기에 그로인한 힘든 시간들을 좀 더 행복하게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돕는 책입니다. 대부분 자신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되는 이들은 남들에게는 아주 유한 잣대를 들이됩니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스스로가 자신에게 엄격하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것에 있습니다.

누군가는 엄격하다고, 누군가는 엄격하지 않다고, 또 누군가는 잘 모르겠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면에서는 엄격한거 같기도, 또 어떤면에서는 엄격하지 않은것 같기도 해서 말입니다.

 

일단, 자신의 상황을 먼저 들여다보는것부터 시작해야 할 듯 합니다.

 

 



지금까지 남들에게 해줬던 배려와 응원의 말들 이제 자신에게 해보세요.

 

 

 

 

이 책은 현실의 나의 잔디밭은 보지 않고 옆집의 푸른잔디밭만 바라보면서 자기자신을 몰아부치는 '누구보다 자신에게 엄격한' 사람이 긴장을 내려놓고 나만의 행복을 느끼면 살아가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자신이 설정해놓은 높은 이상만을 좇으며 현재의 자신을 부정해버리는 이상주의자, 뭐든 빈틈없이 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완벽주의자, 늘 주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우등생. 여러분은 어떤 사람인가요?

 


 

 



타인중심으로 살아가면 다음과 같은 말과 행동,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타인은 사람뿐만 아니라 회사나 돈, 일 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자신의 감정과 생각은 제쳐두고 주위 사람들에게 맞추다 보면 의존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체적으로 선택하지 못하므로 자연히 스트레스가 쌓여 쉽게 지쳐버립니다.

 

타인중심의 사고방식이 습관으로 자리잡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나의 감정과 생각은 사라집니다. 급기야 '내 마음을 모르겠다','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눌러둔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내면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됩니다. 그렇게 쌓인감정이 자신스스로를 공격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렇게 자기자책과 자기비난으로 이어지면 어느순간에 번아웃으로 찾아오게 됩니다. 문제는 '자기중심'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하지 못했기에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중심을 잡지못하고 혼동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상적인 자신(그러해야 할 모습)과 지금의 자신(그러지 못한 모습)을 비교하며 자신을 부정합니다. 이상주의자는 '현재'에 만족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이상주의자는 하나의 과제를 완수해도 곧장 다음 과제를 스스로 찾아냅니다. 늘 이상적인 자기 모습을 좇지만 그럴수록 자신은 더욱 피폐해집니다. 몹시 지치거나 번아웃 혹은 아슬아슬하게 한계에 다다른 사람들에게서 이상주의 성격이 엿보입니다.



 

 

 


어릴때부터 뭔가를 배울 때나 수험공부, 동아리활동, 아르바이트 등을 한결같이 열심히 해온 사람은 '열심히 하는 습관'이 몸에 밴 채 사회로 나옵니다. 이들은 직장뿐 아니라 집에서도 '열심히 하는 게 당연'한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습관은 무섭습니다. 과로가 습관이 되면 마음이 마비됩니다. 과로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것입니다. 너무힘들다고 마음이 메시지를 보내도 알아차릴수가 없습니다.

더욱이 습관이 된 상태에서는 '하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해지기 마련입니다. 스스로를 엄격하게 채찍질하는 습관이 몸에 밴 사람은 이제까지 해온 대로 매사에 열심히 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그러다 결국은 무리하고 맙니다. 자신을 몰아붙이듯 노력하는 사람은 어떤 일이든 너무나도 열심히 하지만 그럴수록 행복은 점점 멀어집니다.

 

 

 


자기부정이 달리 작용하면 '우월감'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보고 안도하는 심리입니다. '내가 저 사람보다 낫다'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위안하거나 '내가 저 사람보다 잘하니까'라며 상대를 깎아내립니다.

 

이런 우월감 또한 자기혐오와 자기부정의 또 다른 표현입니다. 타인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감이 없는 사람입니다. 우리주변에 이런 사람들이 드물지 않습니다.

 

우월감도 자기혐오도 자기부정도 결국 현재상태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하고 할 수 있는 일에만 에너지를 집중하기' 의식적으로 생각해봅니다. 이는 현재상태를 인지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