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보는 그림 - 매일 흔들리는 마음을 다독이는 명화의 힘
이원율 지음 / 빅피시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마흔에 보는 그림' 이라는 제목을 보며 왜 하필 마흔일까? 궁금했다.

그 궁금증은 책의 프롤로그를 읽으며 해소되었다. 저자는 마흔 무렵이

되면 초연해 질줄 알았단다.언제나 의젓하고, 어디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 될 것으로 믿었단다. 그런데 여전히 마음 한편에는 여린 꼬마가

웅크려 있고, 그 옆에는 아직도 세상 모든 게 서툰 청년이 서성이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했다. 이렇게 인생의 이치에 실망감이 밀려오면

저자는 예술을 통해 마음을 다독이곤 한단다.

저자는 책을 4장으로 구성하였다.

1. 위로가 필요한 순간

2. 용기가 필요한 순간

3. 버텨야 하는 순간

4.홀로 서야 하는 순간

작가는 ' 헤럴드 경제' 기자이자 미술 스토리 텔러다.'헤럴드 경제'

화제의 컬럼 ' 후암동 미술관'을 쓰고 있다. ' 미술은 인생의 해상도를

높인다' 는 말을 믿는 작가.작가는 오늘도 독자들에게 미술로 인해

풍부해지는 일상을 선물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했다.

이 책에서 작가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조언은 인생의 시련이 닥쳐도

용기를 잃지 말고 버티고, 일관된 성실함을 장착하라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작가가 들려준 18 명 화가들 중 한 사람도 삶이 수월하고

평탄하기만 했던 사람은 없다. 현실의 괴로움, 고통, 외로움을 극복하고자

발버둥 쳤던 그들이다.

그들의 이야기야 말로 컴퓨터와 로봇에 이어 Al 의 등장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안고 사는 요즘 사람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을 듯 하다.

며칠 전 우연히 알게 된 책이 있다.'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라는

제목의 책이다. 이 책의 표지에 나온 문장과 같은 맥락으로 느껴진다.

'삶이 당신을 쓰러뜨릴 때, 예술이 당신을 일으켜 세운다."

3장 버텨야 하는 순간에 소개 된 폴 세잔의 이야기는 정말 인내와 성실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대표적인 얘기였다. 세잔의 대표작인 <사과와 오렌지>를

완성하는 데만 5년 이상의 시간을 쏟았다니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사람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래 전 공자님은 나이 사십이면 불혹이라고 하셨는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중 과연 얼마나 나이 사십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의 길을 가고 있을까?

나 역시 마흔이 지났지만 아직도 오늘은 처음 살아보는 날이다. 날마다

배우고 있고 , 많이 배웠지만 아직도 배워야 할게 많다.

​책의 맨 끝에 소개된 알폰스 무하. 작가는 그를 성공으로 이끈 건 운도,

귀인도 아닌 무섭도록 일관된 성실함이었다는 문장으로 책을 끝낸다.

이 책을 읽고 인터넷 서점에서 작가의 책을 검색해 보았다. 믿고 보는

작가가 한 사람 늘었다는 건 나의 내면이 그만큼 깊어졌다는 의미로

생각하고 싶다. 좋은 내용의 책을 펴낸 작가에게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