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역사 - 이해하고 비판하고 변화하다
니알 키시타이니 지음, 도지영 옮김 / 소소의책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책의 맨 앞부분 첫 문장이 참 인상적이었다. <이 책을 손에 들었다는

사실만으로 여러분은 특별한 위치에 있는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우선

여러분은 ( 혹은 그게 누구든 이 책을 여러분에게 건넨 사람은 ) 책을

살 돈이 있었다. 빈곤한 국가에 사는 사람이라면 가족이 하루에 몇 푼을

벌어 입에 풀칠하기도 바쁠테니 말이다. 그런 상황에서는 버는 돈 대부분이

식비로 나가므로 책을 살 여유 같은 건 없다. 어찌어찌 책을 손에 넣었다

해도 읽을 수가 없으니 무용지물일 기능성이 크다. 서아프리카의 빈곤국

부르키나파소에서는 글을 읽을 수 있는 청년이 전체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여자 아이의 경우에는 3분의 1 에 불과하다. 본문 인용 p 9 >

나는 이 대목을 읽으면서 문득 ' 나는 이 책을 돈을 주고 산 것이 아니고

서평단으로 만났으니 한번 더 특별하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전에 읽은 '지리의 힘' 책이 생각났다. 어떤 지역에 태어났는 가에 따라

그 사람의 많은 것이 달라진다는 내용의 책이었다. 이 책은 맨 첫 문장부터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시작하였다. 읽어 나가면서도 어려운 내용은

없었다. 경제학 책이 이렇게 재미있을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날의 경제를 지배하는 건 이윤과 가격이지만, 중세의 경제는 종교의

지배를 받았다고 했다. 역시 중세 시대엔 종교의 힘이 막강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기독교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 의 <신국>이라는 개념에는

' 부란 생존하는데 부가 필요한 죄 많은 사람을 위해 신이 내리는 선물' 이라고

했단다. 최고의 인생은 소유를 포 기하는 삶이어서 일부 기독교인은 은둔자가

되거나 수도사 사회의 일원이 되어 돈을 소유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았단다.

영국의 성직자인 토마스 맬서스가 주장한 인구론도 그럴듯 했는데

결국은 그의 말대로 되지 않았다.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량을 넘어서게

되면 많은 입이 적은 음식을 먹게 된다는 그의 인구론은 그저 이론에

기반한 것이었다.당시 맬서스는 사람들이 부유해지면 아이를 더 많이

낳는다고 했단다. 그런데 19세기와 20세기를 지나는 동안 정반대 였단다.

인구 증가 속도가 느려지게 되었는데 효과 좋은 피임약이 발명 된 것이다.

요즘은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져서 국가 소멸 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걸

생각하면 맬서스의 인구론은 호랑이 담배 필 적 얘기로 생각된다.

마르크스의 ' 공산당 선언'과 자본주의 에 대한 부분도 흥미있게 읽었다.

아직도 세계 곳곳엔 공산주의 내지는 사회주의 국가들이 버젓이 국가의

지위를 이어가고 있으니 말이다.

내가 여성이라서일까? 이 책의 뒷 부분 <사라진 여성> 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경제는 여성을 차별했다는 얘기에 많이 속상했다. 여성이 밖에서

일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 일하지 않는 사람으로 여긴단다. 미래의 노동력인

자녀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 대부분을 부담하는 건 여성이란다. 여성이

부담하는 양육 비용을 무시하는 건 여성이 아이를 돌보고 돈으로 보수를

받지 않기 때문이란다. 국제연합의 계산에 의하면 무보수 노동은 전세계

경제 생산의 70%와 맞먹을 정도라고 했다.무보수 노동의 대부분은

여성이 맡는다고 했다.

경제란 무엇인가 네이버에서 검색하였다. 경제란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 소비하는 모든 활동'이라고 나왔다.사람은

세상에 태어나면서 부터가 아니라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경제와 무관한

삶을 살 수는 없다. 사람의 생활에 관련된 것은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경제와 관련이 있다.

얼마 전 읽은 경제 신문에서 옮겨온 문장이다.

[.... 경제란 무엇입니까. 자식에게 밥을 먹이겠다는 가난한 부모의

숭고함입니다. 늠름한 남자가 되어 괜찮은 처자를 아내로 맞겠다는

사내의 욕망입니다. 나라에 기대지 않고 살겠다는 시민의 자존심입니다....]

기름끈이 있어 더 내 마음에 드는 이 책은 얇지 않은 양장본이다.

그럼에도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쓰여 있어 교양, 인문 관련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소장본의 가치가 충분한 책이다.딸에게도 한 번 읽어볼 것을 적극 권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