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나를 위해 펜을 들다 - 인생이 즐거워지는 아주 사적인 글쓰기 예찬론
김진 지음 / SISO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또 한 권의 글쓰기 관련 책을 읽었다. 이 책 저자는 연극을 전공했는데, 끼도

재능도 없어서 배우의 길은 접었단다. 현재는 직장에 다니면서 글을 쓰고

있다.그동안 읽은 글쓰기 관련 책들과 비교해 보면 이 책은 개인적인 얘기와

생각이 많이 나오는 특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글은 참 솔직해서

독자에게 감동을 준다. 한편 글쓰기의 장점을 설명할 때는 일목요연하지 못한

느낌을 받기도 했다.

저자는 글쓰기를 보통의 사람이, 보통의 일상을 차별화된 생각으로 쓰는

일이라고 했다.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글쓰기라고 했다.그렇다. 그래서 사람들은 같은 주제의, 다른 글(소설)에

오랜 시간이 지나도 감동하는 것일게다.

현대의 글쓰기는 없었던 사상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것을 재구성하고 재창조하는 일이라고도 했다. 저자의 생각에 나도 어느 정도는

공감한다.유년시절의 일을 떠올리면 글쓰기가 즐겁다는 저자. 어린시절 혼자서

외로운 시간이 많았던 저자가 이제는 그 시절을 회상하며 즐거운 글쓰기를 하고

있다니 다행으로 생각됐다.

산책이 어떻게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지를 잘 풀어냈다.나도 오래전부터 머릿속이

복잡하면 걷는 습관이 있다.나의 이런 습관이 저자처럼 글쓰기를 위한 산책으로

이어지기를 바래본다. 영감은 글쓰기를 위한 씨앗과 같다고 했다.글쓰기의 단서를

제공해 준다고도 했다.영감은 글속에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면서, 영감이

떠오르면 반드시 메모를 하라고 했다.한편 글쓰기에서 제목은 글의 구심점이 되어

준다고 했다. 글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이 제목이란다.

책을 읽으면서 날마다 일기를 쓴다는 저자처럼 나도 일기를 써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매우 뛰어난 글쓰기 책은 아니었음에도 울림이 있는 책이다. 그건 아마도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솔직히 썼기 때문일게다. 글쓰기에 관심있는 분, 특히

관심은 있으니 어려워서 시작을 못하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