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율의 대전환 - 경제 질서의 변곡점에서 글로벌 통화의 미래를 말하다
오건영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요즘 투자 시장에서 가장 큰 화두는 달러, 금 일것이다. 올해 들어 특히 계속 고공행진 하는 금을 지금이라도 좀 사둬야 할까, 혹은 과거대비 현저하게 높아진 환율로 인해 지금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는 것이 맞나 등 요즘 혼란스러운 시기에 어떻게 해야 좋을지 참 어려운 시기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거시경제 관련하여 최고의 전문가로 손 꼽히는 오건영 작가의 신작이다. 전작에서도 친숙한 구어체 형식으로 거시 경제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했고, 이번 작 역시 친절한 해설과 다양한 신문자료들을 통해 초심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달러, 엔, 금 같은 외화 자산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고 과거부터 현재의 흐름, 더 나아가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나갈지 저자의 생각과 함께 우리도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초저금리가 익숙했었는데 최근에 급격한 금리상승으로 인해 대출이 많은 우리나라 가계 구성 특성상 많은 이들이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고금리 상황은 일시적이고 앞으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점점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책에서는 과거의 초저금리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과거에 비해 과도하게 부채가 증가한 것, 또한 시장이 점점 학습을 하면서 과거보다 훨씬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40년 만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부담 등으로 인해 과거처럼 초저금리로 돌아가는 것은 힘들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과거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고 안정적인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았지만 미국은 셰일오일을 통한 에너지 혁명, 기술적 혁명 등으로 강한 성장을 보여주며 인플레 압력을 잡기 위한 금리 상승을 주도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기업과 가계부채 문제, 이로 인한 부동산 문제 등으로 인해 미국보다 낮은 금리를 유지 할 수 밖에 없다. 최근에는 금리를 인하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더해 가계 뿐 아니라 기업 마저도 대미투자가 크게 증가하며 강달러 기조가 꽤 오랫동안 이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 역시 과거 레벨까지는 당분간 내려가기 힘들것같다는 의견을 보였다. '뉴노멀'처럼 과거와는 다른 레벨을 보여주고 있는 금리, 환율 등을 생각하면서 책에서는 다양한 통화분산 방법과 또 실제적으로 다양한 상품들의 장단점을 소개하면서 투자에 어떻게 적용할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