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고 보니 마흔이 기회였다 - 인생의 전환점에 선 당신에게 2500년 동양고전이 전하는 어른의 철학
이남훈 지음 / 페이지2(page2)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공자가 논어 위정편에서 나이 40세는 세상 일에 정신을 빼앗겨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는 나이라 하여 불혹(不惑)이라 하였다. 하지만 내가 마흔이 되어 보니 걱정과 불안이 가장 고조되는 시기인 것 같다. 나만 그런가 싶었는데 미디어 매체의 설문조사나 자료들을 보면 요새는 40대에 들어서면 모두가 불안해지는 시기인 것같다. 40대가 되면서부터 신체적 노화가 눈에 보이기 시작하면서 아픈 곳이 몇군데씩 생기기 시작하고, 직장인들은 퇴직 연령이 점점 낮아져 40대후반이면 퇴직을 생각해야 될 시기이기도 하다. 통계를 보면 연령별로 40대에 소득이 최정점을 찍지만 그에 맞게 행복감이 올라가느냐하면 그것도 아니다.

이처럼 인생의 전환점을 막 지나는 많은 이들에게 이 책은 2500년 동양고전의 주옥같은 문장들을 통해 우리에게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나침반이 되어 준다. 40대는 점점 퇴화하는 시기가 아닌 오히려 성장하는 시기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인가가 빠져나가면 또 다른 무언가가 채워지는 것이 인지상장이라고 말한다. 왠지 40대부터는 계속 퇴화하며 힘이 점점 빠지는 '상실의 시대'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우리는 덕과 지혜를 갖출 수 있다. 상실의 시대가 아닌 '채움의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지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모든 덕목의 아버지라고 불렸을 정도로 인간이 지닐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지혜라는 것은 기준도 없고 정답도 없으니 각자가 지혜의 도구를 갈고 닦는데, 고전처럼 옛 성현들의 가르침처럼 좋은 수단은 찾기 어렵다. 이 책에서는 동양고전의 지혜들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 많은 독자들에게 위로와 공감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