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질서 - 인간과 자연 세계를 둘러싼 돈의 철학적 탐구
로이 세백 지음, 윤춘송 옮김 / 알파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지난 18년의 세월동안 인간과 돈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끊임없이 해왔다고 한다. 첫 원고는 이 책 분량의 10배이상에 달할정도로 방대한 양이었으나 본래의 탐구를 재검토하고 가능한 적은 단어로 많은 것을 설명하면서 가다듬어 엑기스만 뽑아낸 책이 바로 이 책 '돈의 질서'이다.

그런만큼 많은 양의 축적을 통합하고 핵심만 뽑아 이 책에 담았다는 저자의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 인간과 자연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돈에 대한 본질적인 철학적 탐구가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맥락인데, 한번 읽고 그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기가 상당히 버거웠다. 양 자체는 얼마 안되지만 시간, 에너지, 인간 협력 시스템, 돈, 자연의 희소성 등 다양한 개념들이 일반적인 해석과는 좀 다른 저자의 독특한 세계관이 담겨있다.

최근 암호화폐를 비롯한 다양한 화폐의 등장과 세계 각국의 통화들이 혼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돈이 하고 있는 역할과 과연 어떤 돈을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이 책에서 하고 있다. 저자는 현대 경제를 실물경제와 서비스 경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서 얘기한다. 이 역시 주류 경제학과는 다소 다른 관점이다. 세계 경제 속에서 서비스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실물경제와 괴리되어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돈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인간과 자연 세계의 근본적인 연결을 '생태적 책임'이라고 설명하면서 실물경제 뿐 아니라 서비스 경제 역시 직간접적으로 적용을 받는다. 하지만 점점 변질되어 가는 세계 경제 속에서 저자는 조화로운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신뢰할 만한 수단으로서 어떤 것이 진정 돈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한다.

주류 경제학 이론과는 다른 '생태적 책임'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경제 구조를 바라보는 저자의 독특한 관점이 다소 어색하고 특이하다고 이해가 쉽게 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렇게 기존 관점과 다른 새로운 시각에서 경제와 돈을 바라보는 것은 경제학의 발전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 같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