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로운 퇴직을 위한 생애설계 -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노후대비 300 프로젝트
양재우.정도영 지음 / 청년정신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OECD 국가 중 노인빈곤률이 가장 높은 나라가 우리나라라는 통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우리 윗세대 부모들은 최고의 노후는 자식들이었고, 자식농사만 잘 지으면 노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다. 하지만 이제는 스스로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노후에 아주 힘들어질 수도 있다. 최근 투자에 점점 관심이 많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연금에 관심을 갖고 직접 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나 아직도 노후를 아직 먼나라 이야기로 여기면서 관심갖지 않는 사람도 많다.

이 책은 '생애설계'라는 타이틀로 재무, 자산관리 뿐만 아니라 우리가 앞으로 노후를 어떻게 , 어떤 방향으로 준비해나갈지 잘 설명해준다.

자산관리 및 연금 뿐만 아니라 '내 일'을 어떻게 할지, 건강, 행복 등 우리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한번쯤 생각해 볼 문제들이 많다.

우선 1차적으로 가장 중요한 자산관리 연금파트에서는 저자들이 말하는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 (최경자)에 대해서 잘 생각해봐야한다.

'부자의 기준', '최소한의 생활비' 등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모두 기준이 다르다. 노후에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 대강 그림을 그려보고 또한 생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생활비를 생각해보고, 기준을 세우는 것이 좋다. 물론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기준이 낮다면 대비가 쉬워질 수 있다. 각자의 기준을 생각해보고 앞으로 노후에 어떻게 현금흐름 파이프라인을 짤지 미리 계획해보는 것이 좋다. 또한 소득 항목별로 앞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또한 지출부분들도 놓치지 말고 계획해봐야한다.

이러한 기준들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투자'가 필수적인데, PART3 부분에서 연금과 함께 장기적으로 어떤 투자를 해나갈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다.

보통 경제적으로 준비가 된다면 노후가 걱정없을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경제적으로 준비가 되었다하더라도 마냥 놀면서 보낼수는 없다. 노후준비는 돈준비보다 더 큰 영역이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할지, 어떤 취미를 가질지 등 다각도로 고민을 해봐야 한다.

인간의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 책을 통해 '생애설계'의 개념을 익히고 자신의 미래를 직접 그려보고, 더 나은 이후의 삶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