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투자의 정석 - 우석이 알려주는 실패하지 않는 주식투자법
우석(브라운스톤) 지음 / 토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부동산스터디 카페에서 종종 주식, 부동산, 거시경제 등 여러 주제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종종 올려주시는 우석님이 주식투자에 대해 초보자를 대상으로 쓴 신간이다. <부의 본능>, <부의 인문학>을 인상깊게 읽었고, 또 지금은 절판이 되었지만 <남에게 가르쳐 주기 싫은 주식 투자법>에서 주식투자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엿볼수 있었다.

프롤로그에서도 말하듯이 저자는 주식투자에 성공하려면 우선 나한테 맞는 투자법을 찾으라고 조언한다. 주식을 공부해보고 여러 전략들도 직접 해보고 하다보면 본인에게 잘 맞지 않는 방법이 있고, 잘 맞는 방법이 있다. 대가들의 투자법이라고 해서 자신에게 딱 맞을 보장은 없다. 다른 사람이 어떤 투자법으로 성공했다고 해도 그 방법이 자신에게 맞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투자법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사실 예전에는 이 말을 믿지 않았지만 요즘 점점 느끼는 것은 투자자마다 임하는 자세, 목표, 기간 등이 각각 다 다른데, 누구나 맞는 절대적인 답은 없다는 생각이 점점 강하게 들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 자신에 대한 파악이 우선이라는 말이 참 공감이 갔다. 내가 변동성을 견뎌내는 타입인지, 끈기있게 보유할 수 있는 타입인지 등 경험을 통해 자신의 성향을 먼저 알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먼저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본인이 투자기업을 고르는 기준, 매매타이밍 등 본인의 기준을 설명해주고 있다. 물론 이 역시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독자들은 나름의 판단과 공부로 본인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우선 간단한 PER, ROE 등의 지표로 이 주식이 현재 어느정도로 거래되고 있으며, 돈 버는 속도가 어느정도인지 판단해 볼 수 있다. PER를 볼땐 업종별로 비교를 해야한다. 또한 ROE는 매출이익률, 자산회전율, 부채비율의 곱으로 나눠서 생각해 볼수 있는데, 이 기업이 매출이익률이 높은지 자산회전율이 높은지, 아님 부채를 일으켜서 ROE가 높은지 등을 생각해보고 매년 꾸준히 15가 넘는 기업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PER을 통해 기업의 수익가치, PBR을 통해 기업의 자산가치, ROE를 통해 성장성을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렇게 간단한 지표로 회사를 걸러보고 사업보고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확인하고, 대주주의 주식보유비율, 부채를 통한 기업의 안정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투자를 피해야 할 기업들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이 초보투자자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부분이다. 대주주 지분율이 너무 낮거나, 대주주가 자주 바뀌거나 부정직한 경영진 등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이책에서는 저자가 투자를 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서 독자들이 본인에게 맞는 투자법이 어떤 것인지를 찾는데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고, 어떤 기준으로 투자 기업을 고르는지 기준을 세워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