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 대서사시를 만드는 것은 결국 문체가 아닌가 한다. 서사시의 본질은 먼 거리이다. 사건과 독자의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토마스 만은 무한한 거리를 설정하였다.

독자가 사건에 휘말리는 법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도스또옙스키의 카라마조프 형제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나의 독서 경험으로는 그렇다고 말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작가가 직접 사건에 개입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나로서는 살떨리는 경험이었다. 나는 이 책의 존재 자체를 의심할 정도로 책과 사건이 한 덩어리였다. 작가와 독자는 같은 시간을 공유한다. 그러나 요셉과 그 형제들은 전혀 이런 경험과는 다르다. 사건을 경험하기 보다는 시간을 경험한다. 그것은 문체 덕분이 아닌가 한다. 특유의 서사체로 인하여 우리는 알게 모르게 거리를 두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셉과 그 형제들 1 - 야곱 이야기
토마스 만 지음, 장지연 옮김 / 살림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슬플 수 있다니. 책을 닫는 순간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야곱의 슬픔이 곧 나의 슬픔이였다. 참으로 많이 기다린 결혼과 출산이였는데 아내가 이렇게 갔다. 그것도 길거리에서. 너무 슬퍼서 야곱이 원망스러웠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전쟁 - 말을 상대로 한 보이지 않는 전쟁, 말과 앎 사이의 무한한 가짜 회로를 파헤친다
이희재 지음 / 궁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좀 그렇다 겸손한 제목이다 책이 담고 있는 이야기는 야전 막사를 연상시키는 제목에 비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