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 히토리의 상식을 깨부숴라 - 1퍼센트 부자의 유쾌하고 따뜻한 상식 파괴법
사이토 히토리 지음, 윤미란 옮김 / 나비스쿨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의 저자는 보통 사람과는 달리 성공을 했는지 이유를 알만할 것입니다. 세금을 1위로 낼만큼 너무나도 부유하고 풍족한 사람인데, 특이하게도 언론에도 일부러 드러내지도 않고 즐겁게 일하는 것이 인생의 낙이라고 하는 그의 성공비법은 과연 무엇인지 궁금증을 유발합니다.

 예상대로 평범하지 않은 사람임은 분명합니다. 기존 상식을 벗어나 성공을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말도 안되는 것이 우리가 아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자주 표현하는데, 놀랍게도 사랑이라는 위력이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친구, 심지어는 회사와 사회까지 널리 포괄적으로 작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좋은 결과가 이루어짐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전체 내용의 책은 읽는 동안 부담스럽지 않을정도로 빠르게 정독하고, 한번더 여러 읽을 수록 사랑에 대한 여러 작용의 효과가 다르게 느껴집니다. 우리가 아는 긍정마인드와 기버의 일종으로, 전체 한번 읽고나면 마음의 정화가 일어나, 지금이라도 당장 세상을 바라보는, 아니 주변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로 바뀌어지고, 마음의 편안함과 동시에 모든것에 대한 고마움과 즐거운 기분이 그대로 느껴질 것입니다. 바로 이기분이 성공마인드의 기본이기도 하기때문에 여러분도 체험해보시길 바랍니다.

 책의 흐름은 크게 5가지의 내용으로 전개됩니다. 우선 첫번째에서는 사랑이 담긴 상식파괴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여기서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기존 사랑의 생각하는 틀을 완전히 바꿉니다. 큰성공은 바로 낙심하거나 미운 무거운 마음보다는 사랑과 행복으로 홀가분한 마음가짐으로 사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두번째는 인생을 바꾸는 상식 수용하기를 제시합니다. 어쩌면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곳에서 뜻밖의 방식이 세상 사람들을 기쁘게 한다면 상상이 되겠습니까? 단순한 호기심으로 쉽게 올라가거나 날기위해 상상력으로만 그리던 연구가 실제 발명되어 실생활에 지금 우리는 유용하게 엘리베이터와 비행기를 이용하는 것처럼 말이죠. 또한 해결책은 단순히 하나가 아니라 여러 길이 있다는 점도 이부분에서 제시하여 순간 순간의 선택의 주요성에 대한 마음가짐을 강조합니다.

 세번째는 운과 매력을 폭발시키는 사랑의 상식 파괴를 살펴봅니다. 누구나 실수하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혹시 누군가 실수 했다면 그사람을 혼을 내기보다 오히려 용서하고 사랑으로 참견 보다는 이해가 사랑으로 주변의 사람을 챙기는 방법으로 제시합니다.

 네번째는 상식 파괴로 대성공의 길을 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흔히들 세금을 많이 내면 굉장히 기분이 나빠지는 자영업자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저자는 오히려 나라 경제가 어려울때일수록 우리 자영업자들이 세금이라도 많이 냄으로써 나라경제에 보탬이 되는 것이 우선이다라고 말하는 순간 기존 상식을 굉장히 벗어나있음을 짐작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성공을 이루는 세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다섯번째는 우리가 지금부터 사랑으로 인생으로 살아가려면 어떠한 태도와 마음가짐을 가져야할지 알려줍니다. 어떻게 사랑을 실천하고 사람들앞에서 행하는지 직접 서술하는 장면이 곳곳에 나와 활용적인 부분입니다. 또한 사랑의 엄청난 위력을 느낄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작가는 성공하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밑거름은 바로 사랑과 행복이라는 것을 여러 근거들을 나열하며 제시합니다. 앞으로 나는 수없다고 바로 포기하지 마시고 뭐든 도전하고 할수있다는 자신감으로 제일 중요한 사랑과 행복을 근거로 무엇이든 해내실 수있다고 이책은 말합니다. 이상 뒷걸음치지 말고 사랑으로 먼저 다가가서 살며시 웃으면 바로 상대방도 혹은 세상의 모든 것들이 성공을 이룰수 있게 힘을 실어줄것입니다.

 

 “이 책은 인디캣(@indiecat_hermitcrab)에서 지원받았습니다

 훌륭한 책을 리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것에 너무 감사합니다"

 

#상식을깨부숴라 #사이토히토리 #나비스쿨 #인디캣책곳간 #신간도서  #서평단 #추천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