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쇼크 한국의 미래 - 문명의 변곡점에서 2030 대한민국을 전망하다
이명호 지음 / 웨일북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디지털화된 새로운 사회변혁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원동력을 가져올지 새로운 질서와 창조 방향을
같이 찾아보게 하는 책이다.
현재 디지털 기술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에,
이미 알게모르게 우리의 생활속에 흡수되어 있다.
장점은 아날로그는 변경이 어렵고 변경 비용이 많이 들지만
디지털은 변경이 용이하고 비용도 저렴하다.
이는 1인 기업가의 시대로 빠르게 진화하게 했다.
또한 디지터로가 인공지능에 의한 자동화라는 생산 혁명은,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스마트 시티라는 공간 혁명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사회시스템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고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기준의
잣대를 마련한다.
또한 생산의 측면에서 플랫폼이 생산의 중심역할을 함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의료 서비스나 사회복지서비스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한차원 높은 서비스가 가능하게한다.
사회적으로 디지털 시대의 사회보장제도의 혁신도 요구되는데,
이는 일자리 변화로 직업을 잃은 노동자가의 소득을 보장해주는
방안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곧 사회보장제도가 기술의 사회적 수용을 높이고 혁신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책을 통해 여러분은 새롭게 맞이한 디지털혁명에 쉽게 적응하고,
빠른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하여
앞으로의 미래를 전망하고 준비하게 될것이다.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이 바로 이책을 읽는 당신인 것이다.


P30 디지털은 지능화된 지식 시스템, 연결된 개인의 강화 , 조직의 유연화 , 도구와 사물의 자동화와 지능화, 생산과 프로세스의 플랫폼화, 공간의 보편성과 지능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는 정치, 경제, 산업 등 사회경제 구조는 물론 직장, 교육, 의료 등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진다.

P39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라며 "미디어에 의한 인간의 확장은 정신적, 사회적 복합체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하였다.

P42 "인간은 도구를 만듦으로써 대상과의 관계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선취하는 것이다. 그를 통해 인간의 사간, 인간의 공간이 인공적인 환경이 만들어진다"

P66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디지털 시대의 지식은 대중이 지식생산자로 등장하고 동시에 대중의 지식이 플랫폼이라는 틀 위에서 지식 생태계를 형성하며 발전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특징을 갖는다.

P80 학생들은 생각하는 힘, 즉 지식의 근육을 키워야 한다.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문제를 새롭게 정의하고, 자신만의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능력이 미래의 인재조건이다.

P98 "컴퓨터는 우리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도구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도구다. 말하자면 우리의 두뇌를 위한 자전거(바퀴)와 같다"

P122 알고리즘 뒤에 숨은 차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빅데이터는 약자를위협하는 무기가 될수 있다. 윤리적 지표를 따르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이 필요하다.

P218 디지털 전환이 근무의 유연성을 높이고, 사무실이라는 공간에 대한 종속성을 해방시키고, 어느 공간에서도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으면 업무를 볼수 있는 환경을 들고 있다.

P243 디지털 전환의 가속은 지구 환경의 개선과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산업을 저에너지 산업으로 전환하고 일하는 방식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