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 - 부자들이 들려주는 '돈'과 '투자'의 비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샤론 레흐트 지음 | 형선호 옮김 / 민음인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마지막장 " 번역을 할까 한창 망설였다. 다소 묘한 책이었다.  어찌 보면 투기를 조장하는 것도 같고, 어찌 보면 투자를 권장하는 것도 같았다. 뒤쪽에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번역을 수락 했다." 라는 옮긴이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아마도 이 한 귀절이 이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일른지도 모른다. 전통적인 우리의 썩어빠질 겉으로만의 군자 의식은 분명코 부정의 답을 내릴것이다. 가령 웨렌 버핏이 박 버핏이거나 피터 린치가 최 피터였더라면,  즉 이들이 한국인이었다면  투기와 도박으로 돈을 번 최하층의 투기꾼으로 평가 절하 하였을거란 생각도 해 보았다.  실지로 주변에 그 옛날 잘 아는 학교  육성회장님이 있었다. 모두들 앞에서는 고개를 숙였지만 뒤에서는 학교도 제대로 못나온 일자무식이 농사짖던 땅(화곡동) 이 개발 되어 거부가 된 '졸부'라 쑤근 거렷다. 강남 졸부라는 말도 마찬가지리라. 허나 당시 농사 짖던 농부가 이들 뿐이었을까? 나머지는 다들 어디 갔을까? 주식이든 땅이든 하루 아침에 몇배로 절대 뛰지 않는다. 개발 몇년전부터 서서히 풍문에 오르기 시작하여 확정이 되면 실상 그 전에 거의 다 올랐기에 별로 상승이 없다. 뚜렷한 신념과 주관을 가지고 끝까지 자기 철학을 고수하여 남들이 팔고 나갈때도 흔들리지 않은 사람을 왜 졸부라 평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진짜 졸부는 뒤에서 입소문 내는 사람이나 투자 철학이 아닌 미 발표 정보를 이용한 소수의 양의 탈을 쓴 자본가들이다. 너무 지나친 비약일까?  어쨎든 이책의 내용은  한동안 유행했던, 하고있는 재테크의 외국판이며 젊은 미래의 주역들이 가슴속에 담어야 할 인생 지침서라 생각한다. 리뷰란에 많은 사람들의 찬사 글을 보면 겉으로 군자가 요즘 많이 사라졌다는 안도감도 든다. 본문에 나오는 " 늙은 개에게 새 기술을 가르칠 수 는 없다. 변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변화는 힘든 것이다. " 라는 문구를 되세겨 보며 좋은 책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