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이 오사무×청춘 청춘
다자이 오사무 지음, 최고은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북다 출판사에서 '청춘'을 테마로 묶은 책 중 하나다. 한 권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른 한 권은 바로 이 책 다자이 오사무 단편집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마찬가지로 12편의 단편 소설을 만날 수 있다.

'인간실격'으로 처음 다자이 오사무를 알게 되었다. 작품이 꽤 매력적으로 다가와 이후 작품을 더 찾아서 읽었다. 사실 작품도 작품이지만 그의 삶의 행적에 묘한 끌림이 있었다고 하는 게 맞을 것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음독 자살을 했다면 다자이 오사무는 투신 자살을 했다. 그것도 몇 번의 실패를 거듭한 끝에. 무엇이 이 작가들을 죽음으로 이끌었을까 늘 궁금했다. 책에서 해답을 얻을 수 있으려나.

1935년 아쿠타가와 상 제1회 수상작 후보에 오른 '어릿광대의 꽃' 이 이 단편집에 실려 있다. 다자이 오사무의 실제 경험을 소재로 한 사소설에 해당한다. 카페 직원이었던 여자와 약을 먹고 동반 자살을 기도했다가 여자만 죽고 다자이만 살아 남은 사건을 말한다. 이야기 중간에 작가가 개입하여 말을 건네는 방식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다자이 오사무는 여성 일인칭 고백체로 쓴 작품이 여러 편 나온다. '등롱'도 이에 속하는데 가난한 나막신 가게의 딸이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절도를 하게 된다. 결국 남자에게 버림받고 감옥에 갇히게 되는데 의외로 결말이 훈훈해서 기억에 남는다. '여학생', '부끄러움', '기다리다'도 모두 여성이 화자다. 일본 여성 문예평론가로부터 '남성임에도 이 정도 수준으로 여성의 마음을 잘 알고 있다'며 호평을 받았다.

'달려라 메로스'는 일본 교과서에 실린 유명한 작품이다. 프리드리히 실러의 시를 모티프로 하고 있다. 고전을 재해석해서 일본판으로 바꾼 단편으로 '우정'를 주제로 한다. 마지막 '생각하는 갈대'는 1935~1936년에 쓰인 에세이를 모은 것이다. 다자이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되어준다.

다자이 오사무의 죽음에 여러 억측이 있는데 아내에게 남긴 유서에 따르면 "소설을 쓰는 것이 싫어졌기 때문에 죽습니다" 라고 이유를 밝혔다. 창작의 고통이 그만큼 컸던 것일까? 더 많은 작품을 만날 수 있었을 텐데 짧은 활동이 아쉽기만 한 작가임엔 틀림없다.

🔖 애초에 한 인간의 자살에는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어떤 객관적인 큰 원인이 숨어 있대. 집에서는 모두 여자 때문이라고 단정 지었지만, 나는 그게 아니라고 했어. 여자는 그저 길동무일 뿐이야. 따로 더 큰 이유가 있는 거야.

🔖 저는 누구를 기다리고 있는 걸까요. 또렷한 형태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저, 불안할 뿐입니다. 그러나 저는 기다리고 있습니다.

🔖 '인간은 평생 같은 수준의 작품밖에 쓸 수 없다.‘ 콕토의 말로 기억한다. 오늘의 나 역시 이 말을 방패로 삼는다.



#다자이오사무청춘 #청춘 #다자이오사무 #일본소설 #일본단편집 #북다 #책리뷰 #책소개 #다자이오사무단편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