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 행복 - 가장 알맞은 시절에 건네는 스물네 번의 다정한 안부
김신지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제철 행복
✍️김신지
🏚인플루엔셜

제철 행복을 누리고 산다는 건 마음에 여유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주말마다 고속도로가 꽉 막힌다는 뉴스에 굳이 저런 수고를 들이면서 가야 할까 의문이 들 때도 있었다. 그들은 모두 제철 숙제에 열심이었던 것이다. 계절은 돌고 돌지만 올해 봄은 한 번 뿐이니.

제철 행복이란 지금 이 계절이 보여주는 풍경을 놓치지 않고 산다는 의미다. 작가는 사계절 4번이 아니라 24절기 24번의 다정한 안부를 묻는다. 매번 절기를 챙기며 살지는 않지만 날씨의 변화가 절묘하게 맞다는 생각은 종종 했었다. 특히 불어오는 바람의 온기로 그걸 느끼곤 한다.

제철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부지런해야 한다는 것도 안다. 일부러 시간을 내어 기꺼이 약속을 잡아야 한다. 특별한 날이 아니라 꽃이 피어서 만나고 단풍이 들어서 만나고 동지 팥죽 한 그릇 나누기 위해서 만나는 것이다.

매일 행복을 찾기 힘들다면 적어도 24절기 행복은 챙기며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절기에 얽힌 여러 풍습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제철 무렵에 하면 좋을 숙제 리스트도 만들어 놓았다. 거기에 나만의 제철 숙제를 보탠다면 더 좋겠다.

'자연'스럽게 산다는 의미를 확실히 깨닫게 된 순간이었다. 계절의 변화에 시선을 내어주고 발맞추며, 절기마다 만끽할 수 있는 자연의 선물에 감사하며 사는 일이 참 소중하고 귀하게 다가온다. 나이가 든다는 것 또한 이런 기쁨을 알아간다는 의미에서 나쁘지 만은 않다.

한 번만 읽고 덮어두기 넘 아까운 책이다. 1년에 24번 적어도 절기마다 펼치게 될 책이 아닐까 싶다. 곧 다가올 소만(5월 20일)에는 지인들에게 싱거운 안부를 전해보고 싶다. 작은 안부가 자라 마음을 가득 채우는 소만, 안부를 묻기 좋은 계절이라니까.

🔖p.52
절기가 관찰과 기록의 결과물이라는 걸 새삼스레 깨닫는다. 벽에 걸어둘 시계도 달력도 없던 시절, 옛사람들이 눈앞에 보이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계절의 흐름을 가늠했다는 게 잊혀가는 아름다운 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p.69
한 해를 잘 보낸다는 건, 계절을 더 잘게 나누어둔 절기가 '지금' 보여주는 풍경을 놓치지 않고 산다는 것. 네 번이 아니라 스물네 번 이런 생각을 하며 지내는 일이겠지. 이래서 지금이 좋아, 할 때의 지금이 계속 갱신되는 일. 제철 풍경을 누리기 위해 일부러 시간을 내서 걷고 틈틈이 행복해지는 일.

🔖p.85
제철 행복이란 결국'이 맛에 살지'의 순간을 늘려가는 일.

🔖p.331
나무와 새들의 겨우살이를, 계절이 하는 일을 지켜보면서 자연스럽게 산다는 게 무슨 뜻인지 조금은 알아가는 기분이다.


#제철행복 #김신지 #인플루엔셜 #제철행복단 #신록 #초여름 #산책 #책소개 #24절기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