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함께 읽기다 - 독서공동체 숭례문학당 이야기
신기수 외 지음 / 북바이북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읽기만 해선 안되겠다는 마음에 

2019년에 평일 독서모임 2개를 참여하고 있습니다.

8개월 동안 서툴렀던 모임장과 모임원 역할을 해오며 

독서모임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나 고민하다가, 

역시나 책으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에 독서모임 관련 책들을 검색했습니다.

그렇게 만나게 된 <이젠, 함께 읽기다>입니다.



독서가 고요한 관조의 세계라면, 다른 생각을 듣고 

그 차이를 경험하는 독서토론은 실천의 현장입니다.

다른 삶의 문맥에 놓인 타자를 체험하고, 또 경험하는 자리이죠.

그러므로 독서토론은 인문적 실천의 시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데카르트의 명제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존재하는 인간이길 원합니다.

그러나 우리 교육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어요. 

그럼에도 우리는 창의적 존재를 꿈꿉니다.

그렇다면 다소 어려운 책, 낯선 책으로 다가서야 합니다.

그에 따른 공부도 기꺼이 즐겨야 합니다.

다른 생각을 접하며 자신을 성찰하고, 인식의 한계를 뛰어넘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경험적 독서로 가는 길이 

바로 공독(共讀=함께 읽기)입니다.


책으로 통하는 아이들, 공부하는 주부들, 서평 독도, 

집현전 책 쓰기 모임, 북시네마 영화 토론 등 

숭례문학당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독서토론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 속에서 변화되는 사람들과 그 사람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변화하는 모습까지 담겨있어요.

오로지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눴을 뿐이였는데요.



책은 예로부터 혼자 읽는 것이라고 알았습니다.

하지만 혼자 공부하고 혼자 읽는 시대에서, 

함께 공부하고 함께 읽는 시대로 변하고 있습니다. 아니 변해야 합니다.

독서의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간접경험을 쌓는 일이라고 말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평소 자신의 생각과 논리를 강화시키기 위한 

아전인수식 독서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혼자 하는 독서에서 함께 하는 독서, 

개인적인 독서에서 사회적인 독서로 나아가야 합니다.


독서토론과 디베이트 차이, 독서토론 진행하는 처음과 마무리, 

진행자의 역할과 책 읽기, 논제의 종류와 좋은 논제가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더불어 독서토론에 참여하는 토론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설명합니다.



<이젠, 함께 읽기다>의 마지막 장에는 어떤 책을 읽은지 소개합니다.

인문, 문학, 역사, 철학, 사회, 과학으로 나눠 

이 분야의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와 입문서부터 

난이도 있는 책까지 다양하게 알려줍니다.




학습공동체 '숭례문학당'은 2008년에 문을 연 

rws인스티튜트로부터 시작됐습니다.

독서가 '책'으로 끝나지 않고, 

'글'과 '말'로 구현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시작된 일이였대요.

그렇게 시작된 독서모임이 독서토론, 서평독토, 영화토론, 

글쓰는 모임 등으로 확장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독서모임이 어떤 식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앞선 발걸음을 엿보고자 <이젠, 함께 읽기다>를 읽었습니다.

지금은 단순히 읽은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지만, 

앞으로 독서토론도 해보고, 서평토론, 영화토론, 낭독모임까지 

다양하게 참여하고 기획해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