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1
고운기 지음 / 현암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제목만 보고서는 일본의 문화 이야기이거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관한 이야기 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책을 펼쳤을때, 삼국유사가 등장해서 깜짝놀랐다.
삼국유사는 우리의 문화이고 우리의 역사이자 책인데,
왜 갑자기 일본의 도쿠가와가 친황에게 빌려주었다면서 나오는건지 잘 이해를 못해 멍~했다.

내용인즉, 임진왜란 당시 퇴각하던 일본군 병사가 조선의 문화재를 강탈해갔고,
그중에 우리의 귀중한 역사서 <삼국유사>가 들어있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도쿠가와에게 상납되었고, 도쿠가와는 친황에게 빌려주었다는 내용이 친절하게도 (?) 담겨져있었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일본에서 저렇게 살아가고 있다니 
울컥 억울함이 분함이 올라왔지만,
저자의 말대로 저렇게 깨끗히 보존해주었음을 그나마 감사해야 할 것이 아닌가 싶어져서 서러움이 밀려왔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문화재를 왜 잘 지키지 못하는 것일까?
밀수에 도굴에 .......부끄러우면서도 그나마 일본이 잘 보존해줘서
이렇게라도 알려지게 되어 다행이다라는 생각에 또 한번 울컥함이 솟아났다.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은 말 그대로 도쿠가와가 아끼고 잘 보존해준 우리의 삼국유사에 관한 이야기책이다. 삼국유사안에 담긴 이야기나 삼국유사가 쓰이면서 생겼던 에피소드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 지겹다고 느껴질 수도 있는 우리의 역사서에 관한 이야기를 한결 재미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삼국유사라는 책이 존재했었고, 존재하며, 매우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나긴하지만, 우리의 정부나 국민들이 그 문화재를 되찾고자 노력했다는 어떠한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그만큼 우리는 우리의 문화와 역사에 무관심하고 차갑게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렇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중국에서는 고구려의 역사왜곡과 백두산에 대한 자신들의 역사를 주장하는 억측이 벌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이제 우리는 열 발자국 물러서서 구경만하는 관람꾼의 자세가 아닌,
스무 발자국 앞당겨 서서 그들에게 경고와 역사의 진실에 대해 말 해줘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