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3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3
박종호 지음 / 시공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책장을 열기 전에는 조금 겁을 먹고 있었다.
그림이나 철학 같이 음악에 대해서도 역시 나는 문외한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전에 <오페라 읽어주는 남자>가 그러했듯이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3>도 클래식을
재미있게 설명해주면서 클래식에 조금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인도해 주리라 믿었고, 
그 믿음은 신뢰라는 보답으로 돌아와서 매우 기쁘다.

다만, 저자는 랑랑이라는 중국의 피아니스트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대해
그가 중국인이라 한국사람들에게 인기가 없다고 한 것은 좀 딴지를 걸어볼 까 한다.
물론 중국인이라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저자가 말한 아시아인이라 싫어한다는 것은 조금 억지가 아닐까?
한국에는 한국인 외의 음악가는 유명하지 않다라는 말에 딴지를 거는것은
유키 구라모토라는 피아노 연주가가 한국에서 많이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부터가 이미 그의 CD를 구입해서 듣고 있는데...뭘.....그냥 지나가며 거는 딴지였다.
책으로 돌아가자~!!!

 무엇보다 책이 참 고급스럽다.
 난 이렇게까지 고급스러운 책은 처음이라 
 처음에는 살짝 당황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양질의 종이를 넘기면서 
 읽는 클래식의 맛은 맛있었다.
 유일하게 아는 인물이 나와 반가웠던
 정명훈 지휘자
 루이스 바칼로프의 피아노 연주를 지휘하셨다고 한다.
 피아니스트의 이름은 처음 들어보지만,
 지휘자에 대해서는 여러번 들어봤던 기억이 있기에,
 책 뒷면에 있는 CD에서 후다닥 8번 트랙을 돌려봤다.
 "아~ 탱고를 이렇게도 표현할 수 있구나~"
 책에서 탱고를 음악의 중심이요. 성악의 일부분이라 한 이유를
 음악을 듣고서야 이해가 갔다.

그러고 보니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 이부분이 아닐까 싶어졌다.
글로는 잘 이해가 가지 않던 부분을 음악을 들으면서 자연스레 느끼게 해주는 것.
탱고가 그저 스포츠 댄스 아닌가 싶었던 이들에게 리베르탱고를 들려준다면,
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탱고는 슬픈 음악이다. 라는 인식을 하게 될 것이다.

총 13개곡이 책 설명에 맞춰서 담겨져 있는 이 CD는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3> 을 읽으면서 꼭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CD가 책에 철썩 붙어있을 수 있게
CD케이스가 얇게나마 책에 달라 붙어있길 바란다.
종이를 가위로 자르면서 안의 비닐까지 잘라버리는 실수를
다른 이들은 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말이다.
소장의 가치를 더 높이는 CD와 책
그렇다면, 내가 사랑하는 책에 대한 욕심을 더 끌어올려주는
책탐이 들어가는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3> 이 되지 않을까 싶다.





책의 마지막은 이렇게 저자가 소개해준 연주가들의 
CD에 대한 설명들이 담겨져 있다.
그 중 나는 피아졸라의 스타일을 이어받은 바칼로프가 탱고로 
만들었다는 미사곡 <미사 탱고>와
아름다운 미모로 한번 더 주목받는다는 피아니스트 
엘렌 그리모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5번 황제가 가장 땡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