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덕혜옹주.
부끄럽지만 몇시간이 지나도 기억을 해내지 못했다. 
" 옹주? 공주도 아닌 옹주를 소재로 책이 다 나왔네? "
내 첫 반응은 이렇게도 무지렁이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냄이였다.

" 모두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해도 나는 조선의 마지막 황녀였다. " (396쪽)

자그맣게 제목 <덕혜옹주> 위에 씌여진 조선의 마지막 황녀 라는 문구를 보고서야 
예전에 비행기에서 내리던 노년의 황족의 모습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조선의 마지막 하면 언제나 명성황후만을 떠올렸었는데, 일본에의해 무참히 짓밟히던 그때에 
명성황후뿐만이 아니라 고종을 비롯하여 덕혜옹주 그리고 여러 황족들이 일본의 만행에
온갖 모욕을 당하며 나라 잃은 고통의 세월을 보내야만 했던 것이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본으로 끌려가 가족과 조국을 떠나보내야 했으며,
조선의 황녀이면서 일본의 백작과 결혼을 해야하는 굴욕감을 느꼈던 덕혜옹주.
그런 그녀가 온갖 멸시를 받아가며 일본에서 온전한 정신상태를 누릴수 있었던 것일까?
그녀를 정신병원에 보내버린 그의 남편의 모습이 <덕혜옹주>에서는 부드럽게 표현되어있지만,
실제는 어땠을까 라는 의문이 생겼다. 부담감을 안고 자신의 출세를 위해 취한 결혼이였을텐데,
과연 소설에서처럼 그는 덕혜옹주를 감싸안고자 노력을 했었을까 싶다.

또한 마지막 옮긴이의 말을 보면서 나는 경악을 하지 않을수 없었다.
조선이 독립을 한 후에도 덕혜옹주가 쉬이 조국으로 돌아오지 못했으며,
그것을 우리 조선이 막았다는 사실이 나는 정말.....부끄러웠다.
우리가 먼저 찾아모셨어야 하는 우리의 핏줄을 우리가 먼저 내친것도 모자라 버려버렸다는 사실에 가슴이 아려왔다.


그러나 왜 우리의 역사는 이들의 아픔을 보여주지 않는 것일까?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서에 이들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역사 선생님은 단 한분도 없었음을 기억해내며, 우리의 역사를 우리가 먼저 배우고자 하는 자세가 너무나 절실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무관심 속에 버려진 독립운동가나, 구국청년들 그리고 잊혀져간 조선의 왕족에 대해서도  우리는  지속적인 관심을 보임으로써 다음세대에게도 그 역사적 아픔을 알려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사람의 마음을 아지락하게 하는 그 말이 귓가에 맴돌고 있다.

"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 (4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