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제리 클럽
유춘강 지음 / 텐에이엠(10AM)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결혼 생활 10년만에 남편으로부터의 태클이 들어온다면?

D라는 여자 등급의 나이인 마흔을 꼬리표 처럼 달은 지소, 소정 그리고 나에게,
결혼이라는 상품의  부속물들인 남편들이 강한 태클을 걸어오기 시작했다. 

남편으로 부터 도망 가고 싶은 지소,
넓고 넓은 바다같은 가슴으로 열심히 바람을 피우는 남편으로 인해 우울증에 시달리는 소정,
그리고 어느날 말없이 죽어버린 남편을 둔 나.

남편들의 태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없는 운명인건가,,,아니면 그 태클들을 한방에 무너뜨릴수 있는 파워를 길러야하는 걸까?
결혼 생활에 대해, 남편이라는 존재에 대해 (물론, 내겐 없지만) 정말 현실적으로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다는 
깨달음? 교훈같은것을 얻게 되버렸다.

마흔이라는 나이의 기혼 여성들의 이야기라서 그런가,  [란제리 클럽]에서 약간의 신선함을 느껴본다.
일본문학에서 흔히 등장하는 30대 여성들의 결혼생활은 언제나 불륜과 인생의 허무함으로 채워져 있는 반면,
한국문학에서의 30~40대 기혼 여성들은 '엄마' 인 채로 몇 십년을 살아가고 있었는데,
그런 관념인지 틀인지...하튼 그것을 깨고 40대의 여자와 아내라는 입장에서 씌여진 책이라 그런 기분을 느낀것이 아닌가 싶다.

3년의 열애와 10년의 평화로운 결혼생활, 살아가면서 특별히 트러블도 없던 나, 그녀의 인생에서,
종신보험 같은 존재였던 남편의 급작스런 자살은 정말 충격 그 자체였다.
운전도 못하는 그녀가 고속도로 한 복판에 버려진듯한 그런 배신.
하지만, 그녀가 아는 남편은 존재하지도 않았던 사람처럼 하루하루 증발해버리고, 
결국엔 싸늘한 밤공기가 되어 그녀의 폐 속을 깊이 찔러버렸다. 

대부분의 소설들이 결혼과 함께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에 비해, [란제리 클럽]은 결혼, 그 후를 다루고 있는 것이다.
결혼이라는 환상 속에 묻혀버린 결혼이라는 현실을 직접 맞딱뜨리게 해주는 역할.
결혼과 동시에 나를 버리거나, 꿈을 버린 여자들의 최후?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다소 씁쓸함을 느끼기도 했다.
나를 버리고, 꿈을 버리고, 사랑하는 이를 버리고 선택했던 결혼인데,
10년을 넘게 살을 맞대고 머리를 맞대고 같이 숟가락을 들었었는데, 내가 아는 남편은 세상에 보여진 그 남편이 아니라는
것이 다소 충격적이였다. 그럼 나는 누구와 살고 있었던 것일까?

서른 즈음 결혼이라는 보험에 가입했던 여자들은 마흔 즈음이 되버린 10년후에는 그 결혼이라는 선택을 
'잘했다'라고 여길까? 아니면 '내가 왜 ?' 라는 후회를 할까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길가다 벼락맞는 것 만큼 힘겨운 마흔의 사랑은 정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것일까?
그래서 TV드라마에서는 아줌마들의 연애에 열광하고 미친듯이 그려내고 있는 것일까?

남편의 태클로부터의 투쟁을 보여주기 보다는 약간의 도망? 인생 회피? 같은 모습을 보여준 점이 다소
불만스럽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쟁보다는 우회를 선택함을 잘 알기에 또 그녀의 말에 공감의 끄덕임을 보낼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