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 최대의 과학 사기극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모략과 음모로 가득 찬 범죄 노트
세스 슐만 지음, 강성희 옮김 / 살림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화를 발명한 위대한 과학자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아니다!!!???
  

[지상 최대의 과학 사기극]은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던 나의 과학적 상식을 무너뜨리기 위해 탄생한 책이다.

전화기를 발명한 과학자는 벨이 아닌가? 아니였던가? 라는 의문에 ’벨은 사기꾼이다. 전화기를 발명한 최초의 과학자는 엘리샤 그레이다’ 라는 답을 제시하면서부터 이 엄청난 이야기의 진실은 밝혀진다.

MIT 디브너 연구소에서 동시대의 위대한 발명가 벨과 에디슨의 관계를 연구하던 과학 전문 기자 세스 슐만은 벨의 실험 노트를 조사하던 중 그가 평생토록 감추고 싶어했던 사기 행각의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하게 된다. 

저자가 벨이 그레이의 발명 아이디어를 도용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된 결정적인 증거인 벨의 실험 노트이다.
여러 세대의 수많은 역사가의 날카로운 시선을 뚫고 지나간 벨의 실험 노트가 왜 이제와서 문제가 되는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왼쪽의 사진 때문이다.
사진의 왼쪽은 엘리샤 그레이의 발명 특허권 보호 신청서 3쪽에 실린 도안이고, 그 오른쪽이 바로 문제의 벨의 노트이다.
그 전까지만 해도 송화기에 액체를 이용한다는 벨의 아이디어가  벨의 실험노트 어디에도 나오지 않다가, 그레이가 미국 특허청에 발명 특허권 신청서를 제출하고 정확히 3주후 거의 동일한 도안이 벨의 실험노트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작된 세스 슐만의 진실 파헤치기 공부는 특허 하나로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전화의 아버지’ 라는 명성까지 얻은 벨이 실은 경쟁자 엘리샤 그레이의 액체 송화기 도안과 가변 저항 개념을 노골적으로 베끼고 이 사실을 끝까지 은폐하려 애를 쓰며 지냈다는 사실로 끝을 맺는다.

저자가 발견한 모든 증거 자료와 연구 결과가 전세계 모두가 당연시 여기고 있던 역사적 통념과 과학적 상식을 뒤짚을지, 아니면 또 다른 반론이 제기되어 저자의 연구 결과가 그대로 묻힐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그 수많은 과학자나, 역사학자들이 무심코 지나친 작은 사진에 끊임없는 의문을 제기하고,  또한 통념적 사고에 굴하지 않고 그 진실을 파헤치고자 인내를 발휘하며 증거를 수집하고 공부한 저자에게는 큰 박수를  보내야만 할 것이다. 우리는 그저 받아들여지는 지식들이 사실일 것 이라 여겨왔을뿐이다.
단 한번이라도 그 사실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질문을 하며 공부를 해본적이 있는가? 

역사는  끊임없이 도전하고 질문을 던져 그 대답을 갈구해야만 하는 중요한 우리 삶의 한 부분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못한다면, 또 우리는 이렇게 ’전화 놀이’ 처럼 힘있는 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역사안에서 살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엘리샤 그레이와 알렉산더 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