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별이 너무 짠가.....흠..흠...

굉장히 재미있고, 잘 씌여진 책이라는 얘기에 귀가 솔깃해서 읽게 된 온다 리쿠의 첫 작품이다.
오랫동안 읽어야지~ 읽어야지만 하다가,  방에 모셔둔지 한달이나 지난 후에나 읽게된 
나의 게으름을 그대로 보여준 책이다. 

기대가 컸기 때문일까?
첫 장을 넘기면서 부터 나는 그 다음장을 넘기는데, 힘겨움을 느꼈다.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 나오는 또다른 [삼월은 붉은 구렁을]과 [삼월]에 대한 이해가 전혀 가지 않는다.
이 책이 씌여진 사연이 나오고 나서 부터는 조금씩 흥미를 갖고 읽긴 했지만,
여전히 왔다갔다 하는 내용에 정신을 차릴 수가 없다.
200부로 한정 제작된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 4부작으로 되어있듯이,
이 [삼월은 붉은 구렁을]도 총 4부작으로 되어있다.
그 중 나는 마지막 <회전 목마> 는 마치지를 못했다.
도저히 읽을 수 었다...라는 생각이 게으르고 근성이 약한 나를 유혹했기에......
하지만, 이건 작가의 잘못이다.
독자를 끝까지 이끌지 못한 책임은 전적으로 작가에게 있는 것이다....나름 자기 합리화를 펼쳐본다. 

두번째와 세번째 에피소드는 나름 재밌게 읽어내렸다.
첫번째는 혼란으로 네번째는 지루함으로 힘겨워했지만 말이다.

옮긴이는 이 책이 '모든 것이 제자리에 들어맞았다는 쾌감'을 느끼게 해주는 
'잘 쓴 이야기' 다라며 나를 유혹했었는데, 나는 그 유혹에 놀아난 기분이다.
잘 썼다는 기준이 과연 무엇일까? 
앞, 뒤가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으면서 막막한 이야기가 잘 썼다는 기준에 부합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읽는이에 따라 좋은 이야기가 될 수도 지루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 참 그렇다.

<기다리는 사람들>에서 고이치가 느꼈던 그 느낌을 그대로 받아보고 싶다.
나도 시간을 잊고 탐욕스럽게 책을 읽고 싶다.
그런 기쁨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책을 만나고 싶다. 
<이즈모 야상곡>의 다카코가 느꼈던 그 희열과 욕망을 가져다 준 [삼월은 붉은 구렁을]을 나도 만나보고 싶다.
진짜 [삼월은 붉은 구렁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