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난장이 미짓
팀 보울러 지음, 김은경 옮김 / 놀(다산북스)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미짓을 만나면서부터 나는 단 한번도 미짓을 손에서 내려놓지 못하고 
늦은 새벽 녘까지 단숨에 읽어내렸다. 팀 보울러의 독자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있는 문체가 놀라울 뿐이다.

[꼬마 난장이 미짓]을 읽으면서, 읽고나서 나는 두가지에 대해 생각해봤다.

내가 미짓이라면 어떤 힘을 발휘했을까?
왜 미짓은 마지막에 그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을까?

사실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나를 덮친 충격때문에 나는 한동안 멍할 수 밖에 없었다.
미짓은 왜 그랬을까?? 왜 '셉'은 조셉에게 용서를 구했던 것일까??

미짓의 마지막 선택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미짓은 진정으로 형을 용서한것일까?? 
그가, 겨우 15살짜리 소년이 선택하기엔 너무나 고통스러운 선택이 아니였을까?
우리 마음의 작음 울림을 기대하고 썼다는 작가의 말이 무색하게 나에게는 큰 파도를 일으켰다.
미짓에 대해, 미짓의 선택에 대해 계속 생각에 생각을 하게 되었으니......

첫 작품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을정도로 팀 보울러는 섬세하면서도 흡입력 있는 글로
미짓을 탄생시켰다. 좀처럼 결합이 어려울것 같은 판타지적인 요소도 전혀 거슬림 없이
상황에 배어들어가는 것을 보고 그의 상상력과 독특한 감수성에 가슴이 두근거린다.
만약 그가 곁에 있다면 정말 와락 안아주고 싶을정도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힘에 대한 묘사도, 소리내어 뱉지 못하고 내면에서 중얼거리는 미짓의 혼잣말도 
모두 아름답고도 세심하게 미짓의 마음을 전해주는 역할을 해냈다.
시종일관 보여주는 미짓의 고통으로 전체적인 분위기는 밝지 않은 [꼬마 난장이 미짓]은
현실도피, 형제간의 문제, 첫사랑, 꿈과 열정을 전체적으로 두리뭉실하게 가지고 가고 있지만,
선명하고도 깔끔하게 사건을 해결해나가진 않는다.
그저 미짓을 최악의 상황으로 몰고 갈뿐... 그럼에도 부정적인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작가의 의도가 '어둠'이 아닌 '새벽'의 청아함이기 때문일 것이다.
어둠을 통과하면서 만나는 한줄기 빛이 새겨들어오는 새벽녘을 통해 미짓의 성장통을 그려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읽는 내내 몇번씩 되새기던 글 귀 들이 있었다.
미라클 맨이 미짓에게 들려주는 희망의 메세지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