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 백년 전 한국의 모든 것
이사벨라 버드 비숍 지음, 이인화 옮김 / 살림 / 1994년 8월
평점 :
절판


#한국과그이웃나라들 #이사벨라비숍 #비숍여사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1880년대 후반의 한국을 네차례나 다녀간, 영국왕립지리학회의 첫 여성회원이었다는 비숍여사. 그녀는 고종과 민비와 친분을 쌓으며 백년전 한국과 그 주변정세에 대한 자세한 책을 써내린다. 한국의 지리, 풍경, 풍속과 정치경제, 그리고 청일전쟁과 을미사변 등 숨가쁘게 돌아가는 국제 외교정세까지.

오백여 페이지의 두툼한 책 중 앞머리 절반은 거의 한국에 대한 지리지에 가까워 상당히 지루하다. 남이 쓴 여행기를 읽는 것만큼 따분한 게 있으랴만, 그것도 한국의 자원과 기후와 동식물에 대한 박물학적 진술이 주가 되니 죽을 맛이었다. 한국인의 일반적인 외모와 생활상에 대해서는 대체로 중립적인 표현. 서울과 제물포와 금강산과 원산, 와중에 그녀는 참 잘 돌아다닌다.

비로소 흥미로워지는 건 그녀가 만주와 봉천을 지나 블라디보스톡을 거쳐 시베리아에 도달했을 즈음이다. 상상하기 힘들지만 백년전의 한국은 지금의 남한보다 훨씬 국제적인 면도 있었던 게, 트인 육로를 통해 만주로 시베리아로 난민이 되어 쏟아져 나갔던 게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들은 활기차고 부지런하며 깨끗한 삶을 일군다. 비숍여사가 최초로 한국인의 잠재력을 긍정하기 시작한 지점이다.

한반도 내에선 어딜 막론하고 그저 더럽고 게으르고 흐리멍텅해 보이던 한국인들, 자칫 인종적인 편견으로 굳을 뻔하던 그 인상을 바꿔낼 수 있었던 탈한국인들. 탈조선인들. 차이가 뭐였느냐면, 비숍여사는 수탈자의 존재를 꼽는다. 부패한 정부와 거대한 기생세력으로서 양반집단. 부를 축적하고 인간답게 살아보려는 의지를 초장부터 꺾어버리는 만성화된 시스템.

그런 그녀인지라 한국이 독립국가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꽤나 비관적이다. 중국과의 전통적인 관계는 끊어졌고 을미사변 이후 일본이 조심스런 가운데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시기로 1897년을 보고 있지만, 언제라도 일본이 뒤집을 수 있을 거라고 보는 거다. 마지막 챕터는 그 와중에 영국의 이익을 보전, 확대할 방안에 대한 제언과 더불어 한국에 대한 안타까움이 뒤엉켜있다.

대한제국이 이용할 줄 모르는 짧은 독립의 시기를 구가했던 1800년대말. 나약하고 어리석은 왕은 비전을 제시하거나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고, 누대에 걸쳐 약탈자와 피약탈자의 관계로 단순화된 사회질서는 잠재력과 운동에너지를 봉인해 버렸다. 책에서 그녀의 시니컬한 분석이 빛을 발하는 건 그저 쉬운 손가락질이 아니라 그 맥락과 인과관계에 대해 외부자의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하려 애쓴 점에 있는 것 같다.

그에 더해 철저하고 집요한 기록의 욕구까지. 상투를 틀기 위해 속알머리를 반경 7.6cm 정도 밀어버린다는 놀라운! 정보를 전달하거나, 서툰 통역에 의지해 한국 귀신들의 계보를 그리고 무당굿의 순서와 의미를 설명한다거나, 머무는 숙소마다 줄자를 들이대며 크기를 재고 평균온도를 재던 꼼꼼한 그녀이지만 또 지글거리는 온돌방에 질색팔색하는 모습도 보인다.

백년전의 위태로운 한국이 보이다가, 한국 밖으로 탈출한 한국인들이 보이다간 어느순간 한 모험적인 인간의 삶이 두드러져 보이는 책. 60대의 노구를 이끌고 극동의 작은 나라에서 목숨의 위협을 느끼면서도 온갖 허술한 탈거리를 빌어 사방팔방으로 헤집고 다니는 열정이라니. 인디아나존스가 무색한 그녀의 이름은 이사벨라 버드 비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