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의 비밀 - 미각은 어떻게 인간 진화를 이끌어왔나
존 매퀘이드 지음, 이충호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각의비밀 #미각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미각은어떻게인간진화를이끌어왔나

어렸을 적 '탐구생활'에서 봤던 혀의 지도, 가짜란다. 이럴 수가. 단맛과 쓴맛과 짠맛을 감지하는 부위가 달리 나뉘어있는 것이 아니라 혀의 모든 부분에서 전부 감지할 수 있다는 걸 알았으니 이제 쓴 한약을 먹을 때 단맛만 감지한다는 혀끝으로 필사적으로 날름거리던 바보 짓은 그만해도 되겠다. 이쯤해도 충분히 책을 펼친 보람이 있다 싶은데 이게 끝이 아니다.

대부분의 맛 연구는 혀에만 집중하고 있었지만, 현대과학은 이제 몸 곳곳에서 쓴맛을 수용하고 감각할 수 있다는 걸 안다. 비록 의식에 떠오르지 않고 하는 일도 불분명해 아직은 일종의 그림자 미각계의 일부라고 뭉뚱그려져 있지만, 상상만으로도 뭔가 짜릿하고 신비롭다. 입속에서 폭발적으로 번진 맛의 감각이 소화기관의 어둠 속으로 점차 번져나가고, 거기서 몸속 모든 곳으로 뻗어나간다. 몸 전체가 거대한 혀나 입이 되어 세계에 반응하면서 격렬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는 느낌이라니.

이러한 거대한 미각 기관으로 인간을 놓고 보면, 인간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을지에 대해서도 전혀 새로운 상상을 하게 된다. 원시인의 입과 코는 음식을 모든 경험의 촛점으로 만들었을 테고, 치명적이거나 위험할 수 있는 먹거리로부터 쓴맛을 인지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을 거다. 어느순간 조리된 음식을 맛봄으로써 에너지 섭취를 쉽게 하는 한편 감칠맛이라는 새로운 맛도 감지하게 되었을 거다.

거대한 화학적 혼돈이라 할 수 있는 식사 한끼를 앞에 두고, 이 책을 읽은 우리는 이제 인류의 역사와 진화에 대해 황홀한 상상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